2021년 '등통증' 진료인원 546만 명 돌파‥진료비 1조 1,883억 원

60대, 50대, 40대 순으로 발생‥나이가 들수록 등통증 가능성 높아

박으뜸 기자 (acepark@medipana.com)2023-03-16 12:00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2021년 양방 다빈도 질환 5위는 '등통증'이었다. 등통증은 전체 인구의 10%를 차지했고, 총진료비는 1조 1,883억 원을 돌파했다. 이는 2017년 대비 45.8% 증가한 수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등통증(M54)'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 현황을 발표했다.

진료 인원은 2017년 512만3,996명에서 2021년 546만4,577명으로 34만581명(6.6%)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1.6%로 나타났다.

남성은 2021년 236만1,333명으로 2017년 213만3,989명 대비 10.7%(22만7,344명), 여성은 2021년 310만3,244명으로 2017년 299만7명 대비 3.8%(11만3237명) 증가했다.

2021년 기준 '등통증' 환자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546만4,577명) 중 60대가 20.4%(111만5,710명)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19.1%(104만1,405명), 40대가 15.4%(84만1,352명) 순이었다. 

남성의 경우 6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18.6%로 가장 높았고, 50대가 18.4%, 40대가 17.2%를 차지했다. 여성의 경우는 60대가 21.8%, 50대가 19.6%, 70대가 15.0% 순이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재활의학과 이장우 교수는 "대부분의 등통증은 신체의 퇴행성 변화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외상을 비롯해 유연성 부족, 근력 저하, 잘못된 자세, 반복적인 부하 등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나이가 들수록 등통증이 발생할 가능성도 높아진다"고 말했다.

'등통증' 환자의 건강보험 총진료비는 2017년 8,148억 원에서 2021년 1조 1,883억 원으로 2017년 대비 45.8%(3,735억 원)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9.9%였다.

60대가 23.6%(2,804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18.9%(2,248억 원), 70대가 18.4%(2,188억 원)순 이었다. 성별로는 남성과 여성 모두 60대가 각각 21.8%(1,053억 원), 24.9%(1,751억 원)으로 가장 많았다.

2021년 기준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80세 이상이 30만 8천 원으로 가장 많았다.그리고 남성과 여성 모두 80세 이상이 각각 30만 1천 원,  31만 1천 원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