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혈증 검사주기 역행한 한국…2년으로 되돌려야

늘어난 검사주기, 국민 성향 변화·만성질환 관리 중요성 간과
건강검진학회 "초고령사회 앞두고 퇴보한 결정, 환원해야"

조후현 기자 (joecho@medipana.com)2023-11-20 06:03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고지혈증 검사주기를 4년에서 2년으로 다시 되돌려야 한다는 주장이 이어지고 있다. 만성질환 관리 중요성이 커지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퇴보하는 정책인 데다, 달라진 주기로 인한 의료현장 혼란도 여전하다는 지적이다.

한국건강검진학회는 19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국가건강검진 실효성 강화를 위한 고지혈증 검사주기 환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고지혈증 검사주기는 지난 2018년 2년에서 4년으로 연장됐으나,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 콜레스테롤)은 여전히 일선 의료현장에서는 논란의 중심에 있다.

당시 콜레스테롤 검사는 2년 주기와 4년 주기를 비교했을 때 질병 조기발견이나 사망률에 차이가 없었다는 논리로 연장이 결정됐다.

이 같은 결정에 대해 건강검진학회는 예전 의료 통계를 기준으로 연구된 것으로, 국민 성향 변화와 만성질환 관리 중요성을 간과한 결정이라고 지적했다.

지난해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가 발표한 'Dyslipidemia Fact Sheet'에 따르면 이상지질혈증은 40대 이상 남자에서 55% 이상 유병률을 보이는 다빈도 질환이다. 그러나 질환에 대한 인식률은 60%대로 낮고, 치료율은 55%, 조절률은 4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고지혈증 검사주기도 연장되면서 검사는 물론 진단 후 투약 동기 유발도 부족해졌다는 것.

심혈관계 질환 발생의 중요한 위험인자 중 하나인 이상지질혈증은 고혈압이나 당뇨병과는 달리 약물치료로 충분히 관리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적극적 진단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신창록 건강검진학회장은 "건강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며 건강을 점검하고 약을 안 먹더라도 생활 습관부터 고쳐 관리하는 것이 최근 국민 성향"이라며 "국가가 이런 점을 반영하지 않는다는 것은 잘못된 부분"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지난 7월 발표한 제2차 심뇌혈관질환 관리 종합계획을 보더라도 복합 만성질환 관리 강화를 위해 국가건강검진 내 이상지질혈증 검사 확대를 검토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으니 이를 적극 반영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근태 이사장도 "일본의 경우 고지혈증은 물론 당화혈색소까지 1년 주기로 검사하며 초고령사회를 대비하고 있다"며 "LDL 수치가 경계선으로 나와도 식이요법 등 관리를 시작해야 하는데, 초고령사회를 앞둔 우리는 오히려 2년에서 4년으로 퇴보한 셈"이라고 언급했다.

접근성 높은 단골 의원에서 건강검진을 받고 사후관리로 이어지는 '검진 의료전달체계' 필요성도 제기했다.

건강보험연구원 연구에 따르면 검진을 통한 8개 목표 질환 의심 판정자 추가검사 및 진료 비율은 40%를 넘지 않았고, 경계 판정자 50% 이상이 6년 이내 질환 의심이나 유질환자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진은 제대로 된 사후관리로 이어지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 질환 의심자는 의원 이용 비율이 높고, 일차의료기관에서 치료를 시작하는 경우 복약 순응도가 높다는 등 연구결과를 반영한 사후관리 보상과 정책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신창록 건강검진학회장은 "검진기관평가에 사후관리 항목을 추가하고, 부실한 기관은 퇴출시키며 사후관리 없이 진단에만 몰두하는 기관은 국가건강검진을 중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