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이상 고위험군 2000만, 당뇨 대란 온다… 국가 책임 강화 '시급'

MZ세대도 안전지대 아니다… 관리·치료 둔감해 예후 불량
검진·교육·관리 국가 책임 필요… "무대책 일관하면 '참사' 나는 것"

조후현 기자 (joecho@medipana.com)2022-11-15 06:05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당뇨병 대란에 대한 국가 책임 관리 강화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당뇨병 유병자 수가 예상보다 30년 이상 앞당겨진 가운데 초고령사회 진입과 비만율 증가로 노인은 물론 젊은 성인 유병률까지 늘어나고 있기 때문.

국가건강검진에 관련 지표를 포함하고 당뇨교육센터 확대, 고위험군 추적관리 등 국가 차원에서 개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4일 당뇨병 2차 대란 위기관리를 위한 정책 포럼에서는 당뇨병에 대한 국가 차원 관리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대한당뇨병학회는 국회 정춘숙 보건복지위원장, 한국제약바이오기자협회 등과 14일 세계당뇨병의 날을 맞아 기념식과 정책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발제에 나선 당뇨병학회 문준성 총무이사는 당뇨병 대란 도래가 빨라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당뇨병학회 '당뇨병 팩트시트(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22)에 따르면 2020년 기준 30세 이상 당뇨병 전 단계 비율은 44.3%로 1497만 명으로 추정된다. 올해 당뇨병 유병자는 600만 명을 넘겨 당뇨병 고위험군은 2000만 명을 넘어섰다.

당뇨병 유병자 600만 명은 오는 2050년에나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던 수치지만, 30년가량 앞당겨진 것.

문 총무이사는 "2050년 당뇨병 대란이라는 수치에 긴장을 늦춘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며 "여러 역학적 양상을 분석해 보고 준비와 대비를 생각해봐야 할 시점"이라고 경고했다.

당뇨병은 노화 질환이 만큼 오는 2025년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노인 당뇨병 관리 중요성도 커지는 상황이다. 실제 지난 2020년 기준 30세 이상으로 보면 당뇨병 환자는 16.7%지만, 65세 이상은 30.1%에 달한다.

이런 가운데 국민건강보험공단이 65세 이상 노인 3만6946명을 8년간 추적한 코호트 자료에 따르면 당뇨병 전 단계에서 당뇨병으로 이행하는 비율은 2.2%였으나 비만도에 따라 최대 3% 이상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국내 비만 증가 추세를 고려할 때 절대적 환자 수가 늘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설명이다.

또 40세 미만 젊은 성인 당뇨병 유병률도 높아지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MZ세대는 진단 후 1년 내 병원 방문율과 혈당강하제 처방 비율이 평균 20%를 밑도는 등 치료에 소극적인 데다 비만도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나 예후도 불량하다는 지적이다.

최근 당뇨병학회는 2형당뇨병 선별검사 진료 지침 권고도 기존 '40세 이상이거나, 30세 이상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에서 '35세 이상이거나, 20세 이상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로 변경했다.

이에 따라 당뇨병에 대한 국가적 대처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문 총무이사는 국가 건강검진 당화혈색소 도입(TEST)과 고위험군 추적(TRACING), 대국민 캠페인과 올바른 정보전달(TREATMENT) 등 '3T' 전략을 제안했다.

문 총무이사는 "고위험군 및 초기진단자 조기관리를 통해 장기적 예후를 개선해야 한다"며 "사회적 비용 절감을 위해 과감한 정책과 투자로 선제적 방어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진 토론에서도 국가 차원 관리 강화 필요성에 의견이 모아졌다.

대한내분비학회 김대중<사진> 보험이사는 당뇨병 교육센터 확대를 강조했다.

병원은 진료시간의 한계로 당뇨에 대한 충분한 교육을 제공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당뇨병 등록교육센터를 운영하는 보건소는 전국 256곳 가운데 33곳밖에 되지 않는 실정이다.

김 보험이사는 "최근 이태원 참사 관련 우리 가슴에 응어리가 진 이유도 재난이 예측되는데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는 것"이라며 "당뇨병 대란이 오고 있다고 계속 이야기 하는데도 무대책으로 일관하는데, 결국 닥치고서 책임을 따지는 문제가 연상된다"고 꼬집었다.

이어 "당뇨병은 국가가 책임지고 공공 서비스로 풀 수밖에 없는 케이스"라며 "늘어나는 진료비로 천문학적 돈을 사용하기 전에, 정부가 투자하지 않으면 대란을 막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보건복지부 곽순헌 건강정책과장은 지역사회 관리를 기본으로 일차의료기관과 보건소 중심 관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곽 과장은 "만성질환은 지역사회에서 일차의료기관이나 보건소가 주치의 개념으로 관리해줘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면서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사업, ICT 활용 건강관리 사업, 방문건강관리사업 등을 위주로 확충하고 내실화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교육상담 내실화나 교육센터 확충 등은 예산사업에 담겨 있지 않지만 고민해야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