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에 뒤처진 관행이 결핵 확산‥年 150만명 사망

국경없는의사회, 오래된 정책들 폐지 요청 새로운 보고서 발표

최봉선 기자 (cbs@medipana.com)2015-12-02 22:15

국경없는의사회와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결핵 퇴치 국제협력사업단(Stop TB Partnership)은 2일 총 24개국의 결핵 진단 및 치료에 관한 정책과 관행을 점검한 `Out of Step` 보고서 2판을 내놓았다.
 
향후 20년 사이에 결핵으로 인한 사망률도 낮추고, 새로운 감염도 90% 이상 줄이겠다는 세계적 목표를 달성하려면, 이 보고서에 제시된 14개 권고 사항을 즉시 시작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며, 이 권고 사항들은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지원하는 내용들이다.
 
치료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지금도 해마다 150만 명의 생명을 앗아가고 있는 결핵은 지구상에서 가장 치명적인 감염병으로 손꼽힌다.
 
국경없는의사회 '필수의약품 접근성 강화 캠페인'(Access Campaign)의 결핵 자문위원 그라니아 브릭덴(Grania Brigden) 박사는 "시대에 뒤처진 관행으로 사람들에게 고통과 사망의 위험을 배가하는 결핵 치료는 이제 떨쳐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에서 살펴본 24개국 중 30%(8개국) 만이 결핵 진단에 있어 더 새롭고 효율적인 `신속 분자 검사`를 활용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해 둔 것으로 드러났다. 이 전략을 실행하려면 분명 재정적인 어려움이 따르지만, 조기에 결핵을 진단하여 치료에 들어가려면, 신속 분자 진단 검사를 확충하는 방안을 각국이 진지하게 고려해야 한다. 이로써 전염 사슬도 줄이고, 장기적으로는 비용적인 영향도 줄일 수 있고, 약제내성 결핵 감염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WHO 산하 결핵 퇴치 국제협력사업단의 루시아 디티우(Dr. Lucica Ditiu) 사무처장은 "2016~2020년 결핵 퇴치를 위한 결핵 퇴치 국제협력사업단의 글로벌 플랜에 제시한 90-(90)-90 목표, 그리고 WHO의 결핵 퇴치 전략에 포함된 장기 목표들을 달성하려면, 결핵 진단 및 치료에 관한 국제사회의 권고 사항에 맞도록 각국의 정책과 관행을 시급히 개선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조사 대상국 중 60%(24개국 중 14개국) 정도는 `카테고리 II`의 재치료 방식을 지속하고 있는데, 이는 다제내성 결핵(MDR-TB), HIV/TB 동시 감염 등이 많이 나타나는 국가에서 치료 효과가 좋지 않다. 각국이 모든 결핵 환자들에게 신속 분자 검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여건을 개편하고 나면, WHO 권고 사항에 맞도록 재치료 방식을 단계적으로 중단해 완전히 그 자취를 없애야 한다는 것이다.
 
의무적인 입원 또한 불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국경없는의사회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의료 현장 부(副) 코디네이터 비비안 콕스(Vivian Cox) 박사는 "국경없는의사회 프로젝트를 비롯한 여러 곳에서, 우리는 약제내성 결핵 환자의 입원이 불필요하다는 것을 보여 왔다. 심지어 자원이 빈약한 곳에서도 환자들이 집에 머물며 치료를 받을 수 있다고 알려 왔다"며 "약제내성 결핵 치료를 분산시키는 것은 치료 프로그램 운영 측면에서도 비용 효율적이고, 의료적으로도 집중화된 치료만큼이나 효과적이다. 게다가 환자와 그 가족, 해당 지역사회 편에서 보더라도 분산된 치료법이 훨씬 더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조사 대상국 중 12%만이 국가 필수 의약품 목록에 현재 약제내성 결핵 치료에 쓰이는 모든 의약품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최신 결핵 치료제를 구하기 위한 절차를 마련해 둔 국가는 조사 대상국의 65%였는데, 치료제가 가장 필요한 국가에서 제약회사들이 약품을 등록할 수 있게 해 환자들이 약을 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브릭덴 박사는 "향후 3년 안에 WHO 권고 사항을 완벽하게 충족시키도록, 모든 나라들이 자국의 정책 및 관행을 개선하여 결핵으로 인한 질환 및 사망을 정면에서 다루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