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 "식품 금지 TiO2 의약품으로 확대 안 해"

조해진 기자 (jhj@medipana.com)2025-08-11 12:30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유럽연합 집행위원회가 식품에서 사용을 금지한 이산화티타늄(TiO2)을 의약품에서는 사용이 가능하도록 했다. 의약품에서는 현재 TiO2를 대체할 수 있는 대안이 없다는 판단에서다.

11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 브리핑 자료에 따르면,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의 이같은 결정은 의약품에서 TiO2에 대한 대한의 타당성을 평가하고, 의약품 가용성에 대한 잠재적 영향을 고려한 유럽 의약품청(EMA)의 피드백을 기반으로 했다.

TiO2는 수십 년 동안 식품의 미백제, 의약품의 색소, 화장품의 자외선 차단제 등과 같이 안료 및 불투명제(정제의 균일한 색상 유도) 그리고 유통기한 동안 약물의 색상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부형제로, 활성 의약품 성분(API)을 보존하는 코팅 역할을 하고 있다. 

위원회는 TiO2가 식품 첨가물로 사용하기에 안전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는 유럽식품안전청(EFSA)의 2021년 5월 과학적 의견에 따라 2022년 1월 식품 첨가물로서의 TiO2 승인을 취소하고, 금지 조치를 의약품으로 확대할 가능성을 나타내는 규정을 발표한 바 있다. 

다만, 위원회는 EMA에 TiO2를 대체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분석을 요청했고, 제약업계의 목소리가 담긴 피드백을 받아 최종적으로 금지 조치를 내리지 않는 것으로 결정을 내렸다. 

EMA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에 제출한 의약품에 대한 TiO2 주요 조사결과에 따르면, 의약품의 색상과 외관의 균일성은 TiO2의 대체에 의해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정제 코어의 자연스러운 색상은 적용 범위와 색상 균일성에 영향을 미쳐, 특정 정제 제형의 효과적인 코팅을 방해할 수 있다. 

이를 대체하기 위한 정제를 재구성하면 제품의 시각적 외관 변화로 인해 환자 순응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TiO2는 불투명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 요소이기 때문이다.  

또한 소량으로도 효과적인 불투명도를 제공하는 TiO2와 달리 대체 코팅은 훨씬 더 높은 중량 비율이 필요해 처리 시간이 길어지고 비용이 증가할 수 있으며, 대체 재료에 필요한 두꺼운 코팅이 의약품의 안정성과 유통기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전했다. 

이에 EMA는 "간단한 일대일 대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승인된 의약품의 5% 미만에 대해서만 실현될 것"이라며 "현재 개발 중인 의약품에도 동일한 기술적 과제가 적용될 것"이라는 의견을 제출했다.
 

관련기사보기

유럽 EMA, 세마글루타이드 시력 질환 부작용 발표

유럽 EMA, 세마글루타이드 시력 질환 부작용 발표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유럽의약품청(EMA)이 노보노디스크의 세마글루타이드 계열 약물에 대해 시력 질환 부작용을 공식화하며, 관련 제품의 라벨에 '비동맥 전방 허혈성 시신경병증(NAION)' 발병 가능성을 명시할 것을 권고했다. 9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에 따르면 EMA 산하 약물감시 위해평가위원회(PRAC)는 지난 6일 회의를 열고 GLP-1 수용체 작용제인 세마글루타이드가 NAION을 유발할 수 있다는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NAION은 녹내장에 이어 시신경 손상으로 인한 실명의 두 번째로 흔한 원인 질환이다

식약처, EMA 주관 백신 품목허가 심사에 참여

식약처, EMA 주관 백신 품목허가 심사에 참여

식품의약품안전처 소속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이 EMA(European Medicines Agency)가 주관하는 백신 품목허가 심사에 공동으로 참여한다. 30일 식약처는 지난 6월에 '의약품 과학적 공동평가'(OPEN) 프로그램 공식 참여기관이 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공동 심사는 EMA가 기관 간 규제 조화, 규제 결정의 투명성 향상을 위해 해외 규제기관과 함께 공동으로 특정 의약품 심사평가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식약처는 이번 심사에서 Arcturus 코로나19 백신(미국-호주 제약사가 차세대 mRNA 플랫폼으로 공동 개발)

KRPIA "식약처 EMA 의약품 공동심사 프로그램 참여 환영"

KRPIA "식약처 EMA 의약품 공동심사 프로그램 참여 환영"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이하 KRPIA, 회장 배경은)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이하 평가원)이 유럽의약품청(EMA)이 주관하는 의약품 및 바이오의약품 과학적 공동평가(OPEN) 프로그램에 참여, EMA와 의약품을 공동으로 심사하는 것에 대해 환영의 뜻을 밝혔다. 지난달 28일, 평가원은 EMA가 주관하는 의약품 공동심사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됐다고 발표했다. EMA는 기관 간 규제 조화, 규제 결정의 투명성 향상을 위해 해외 규제기관과 함께 공동으로 특정 의약품의 심사평가를 수행하는 OPEN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대

아일리아 8mg, EMA 승인 허가 권고…최대 6개월 투여 간격

아일리아 8mg, EMA 승인 허가 권고…최대 6개월 투여 간격

바이엘은 항-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이하 항-VEGF) 치료제 '아일리아 8mg(애플리버셉트)'에 대해 유럽의약품청 산하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ommittee for Medicinal Products for Human Use, 이하 CHMP)로부터 최대 6개월 투여 간격 확대에 대한 허가 권고를 받았다고 밝혔다. 해당 권고는 향후 수 주 내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의 최종 승인만을 앞두고 있다. 이번 CHMP의 권고는 신생혈관성(습성) 연령 관련 황반 변성(Neova

바이넥스, 유럽 EMA 실사 통과‥바이오시밀러 공급 개시

바이넥스, 유럽 EMA 실사 통과‥바이오시밀러 공급 개시

바이넥스가 유럽의약품청(EMA)이 실시한 우수의약품품질관리기준(GMP) 실사를 통과했다고 20일 밝혔다. 바이넥스는 올해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기업이 개발한 바이오시밀러 제품에 대한 글로벌 상업용 의약품 생산 공급을 위해 글로벌 양대 시장의 규제기관인 유럽의약품청(EMA),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엄격하고 까다로운 실사를 연이어 받았으며, 미국 FDA의 cGMP 승인에 앞서 유럽의약품청(EMA)의 cGMP 승인을 우선 획득했다. 바이넥스는 이번 실사 통과로 글로벌 규제기관이 요구하는 수준에 부합되는 GMP 시설 및 품질관리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