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케이메디허브, 지역대학 약대생들 심화실무실습 기회 제공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양진영)는 지역대학 약대생의 심화실무실습(제약/의약품행정/연구실)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재단에 따르면 경북대학교, 영남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의 약대생을 대상으로 7월 24일부터 10주간 총 400시간의 교과과정을 성공리에 종료하였으며, 약대생들의 필수 이수 교과 과정을 지원함으로써 제약 전문인력 양성에 기여했다. 케이메디허브는 공공기관 최초 의약품 생산 GMP 인증을 받은 후 약대생들의 실습교육에 앞장서고 있다. 또한 약학대학생들에게 보다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기업대표 및 대
-
한국휴텍스제약 내용고형제, GMP 적합판정 취소되나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가 한국휴텍스제약㈜ 내용고형제 대단위 제형에 대한 의약품 제조·품질관리기준(GMP) 적합판정 취소 절차를 진행한다고 29일 발표했다. 이번 취소 조치는 지난해 12월 GMP 적합판정 취소제가 시행된 후 첫 사례다. 의약품 제조&mid
-
복지부, 29일 '제3차 한의약 유관기관장 협의회' 개최
보건복지부는 한국한의약진흥원과 29일 오후 서울 명동 로얄호텔에서 '제3차 한의약 유관기관장 협의회'를 개최했다고 이날 밝혔다. 한의약 유관기관장 협의회는 한의약과 관련된 정부, 공공기관, 민간단체 간 소통과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한의약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작년 2월에
-
다시 마주한 의-정…필수의료-의대정원 선후 입장 '팽팽'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의료현안협의체 논의 테이블에 다시 마주앉은 정부와 의료계가 필수의료와 의대정원 확대 정책 선후 관계를 두고 팽팽한 입장차를 재확인했다. 29일 19차 의료현안협의체에서 보건복지부는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는 의대정원 확대를 위한 선결 조건이
-
의약품 분야 규제 개선, 산업 활성화에 힘 보태나
의약품 분야 규제혁신을 위해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총리령)'이 개정된다. 개정안 주요 내용은 ▲전 공정 위탁제조 품목허가 신청 시 의약품 제조·품질관리기준(GMP) 평가자료 제출 면제 ▲의약품 공급 중단 시 보고기한 180일 전으로 강화 ▲우선판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과**2016.09.20 15:20:40
그냥 여자들도 공보의 시키면 다 해결 되는데
작성자 비밀번호
0/200
과*2016.09.20 14:28:20
그리고 (2) 공보의 줄어드는게 의전원 때문만은 아니잖아.
하고 먹고 살기 힘드니까 공대나 자연대 갔던 머리 좋은 사람들이 의대 다시 가서 군필 의대생이 늘어난 것도 있잖아.
사회 문제는 해결 안하고 의대생 숫자만 주무르려고 그러지? 그냥 제일 만만하지?
작성자 비밀번호
0/200
과*2016.09.20 14:26:07
그리고 공보의 늘려봤자 3년 아닌가. 3년짜리 공보의로 돌려막기 하려고?
별정직으로 하든지 해서 급여 제대로 받는 의사 공무원 수를 늘려보라고.
노예 부릴 생각 하지 말고...
작성자 비밀번호
0/200
과*2016.09.20 14:24:49
의전원 대부분 없어졌으니 몇 년 기다리면 공보의 나올 거 아닌가?
일부러 저러는 건가?
작성자 비밀번호
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