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지 국산화 나서는 국내 바이오기업들, 성과 가시화 기대
[메디파나뉴스 = 정윤식 기자] 국내 바이오 소부장 기업들이 배지 국산화 성과가 가시화 되고 있다. 배지는 바이오의약품 생산용 동물세포·세포치료제를 증식시키거나, 기능을 유지하는데 쓰는 영양분, 성장인자 등의 화학물질 조성물로 정의된다. 특히 세포 배양 배지는 바이오의약품 원료 생산을 위한 필수 재료로 암, 당뇨병, 관절염 및 기타 비전염성 질병 치료를 위해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품목이기도 하다. 더불어 국내 바이오의약품 시장과 함께 배양 배지 시장 역시 성장하고 있으나, 기초적인 단계의 개발 기술로 인해 대부분의 물량
정윤식 기자23.11.20 12:06
아지노모도제넥신, '아지노모도셀리스트코리아'로 사명 변경
아지노모도는 지난 7월 제넥신이 보유하고 있던 지분 25%를 전량 인수해 아지노모도제넥신의 지분을 100% 확보하게 되었다. 의약품용·식품용 아미노산의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공급업체 아지노모도는 헬스케어 분야의 기반 사업 중 하나로 바이오 의약품용 배지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사명변경을 시작으로 바이오 의약품 생산용 세포배양배지 사업에 핵심이 되는 개발 및 생산의 글로벌 체제를 강화해 나아가겠다는 방침이다. 새로운 사명으로 채택된 '셀리스트(CELLiST)'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세포배양배지의
정윤식 기자23.11.01 09:16
아시아로 향하는 세포 배양 배지 사업…국내 투자·개발 '박차'
[메디파나뉴스 = 정윤식 기자] 글로벌 세포 배양 배지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관련 기업들의 국내 투자 및 자체 개발 행보가 이어지고 있다. 세포 배양 배지는 영양분을 공급하고 세포 발달을 조절하는 농축 성장 배지를 뜻한다. 이는 바이오의약품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원료로서, 생산용 세포의 성장과 생산성에 영향을 미친다. 더불어 최근 암·당뇨병·류마티스 관절염을 비롯한 비전염성 질병 치료를 위한 바이오의약품 생산 증가로 인해 전례 없는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글로벌 세포 배양 배지 시장 규모는 2028년까지 연
정윤식 기자23.10.19 06:01
아미코젠, 바이오소재 사업 본격화 전략제시
아미코젠이 18일 오후 3시, 국내 주요 기관투자가 및 애널리스트를 대상으로 최근 경영현황과 미래전략, 바이오소재 국산화의 핵심소재 배지, 레진 사업 진행사항 등을 설명하는 기업설명회(IR)를 개최한다고 공시를 통해 밝혔다. 아미코젠은 공시를 통해 957억 원 규모 자금조달을 유상증자를 발표한 뒤, 이번 기업설명회를 시작으로 오는 19일과 26일에 걸쳐 주주 대상 사업설명회 및 간담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번 기업설명회에서는 특히 바이오소재 국산화의 핵심소재인 배지, 레진의 기술 개발 경과 및 공장 건설 일정 그리고 향후 사업화 전
정윤식 기자23.09.18 10:02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다국적 제약사 한국법인 CEO 선임 기조는 여전히 '한국인'
2
키트루다, 삼중음성 유방암서 한국인 치료 성적 더 좋게 나왔다
3
'히알루론산 점안제', 약평위에서 결론 지연‥급여기준 추가 검토
4
J&J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 연매출 50억 달러 자신"
5
유한양행, 신약 '렉라자' 딛고 내년 매출 2조원 넘나
6
'네시나메트' 개선 나선 셀트리온, 특허 등재까지 마무리
7
의대정원 이견 속 '숫자' 논의 조만간…협의점 찾을까
8
희귀의약품 지출 규모 천차만별‥"고가·저가 의약품, 다른 관리 정책 필요"
9
政,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지침개정 확정…醫·藥·患 반대 속 강행
10
지난해 심평원이 잘한 점?‥'의료비 절감'과 '신약 관리 체계 구축'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최근 6개월 간의 기사목록입니다.
로그인을 하시면 전체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