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의정협의체에 진지하게 임해주길
대한의사협회가 대의원회 운영위원회의 권고를 수용하여 의료현안협의체 위원을 교체하기로 했다는 소식과 함께 협의체를 이끌 단장과 위원에 관한 하마평이 이어지며 분주하다. 언론에 보도된 대로 11월 11일 토요일 시도회장단 회의에서 안건으로 올려서 최종적으로 결정 과정을 거친다고 하니 며칠 남지 않은 시간 많은 생각이 든다. 또한, 하마평에 오른 한 사람으로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 대의원회가 운영위원회에 보낸 권고 취지를 제대로 이해했다면, 새롭게 협상을 이끌 단장은 마땅히 협회장이 맡아야 한다. 의대 정원 증가 관련 문제는 현재 의
메디파나 기자23.11.10 09:56
"의대정원 확대 일방 추진, 의정합의 위반…파업 재개해야"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의대정원 논의 패싱 우려에 대한의사협회가 의료현안협의체 재구성에 나섰지만, 의료계 내부에서는 파업 재개 등 강경 발언도 고개를 들고 있다. 9.4 의정합의 파기에 따른 파업을 재개하고 별도 의정협의체 논의를 병행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8일 미래를 생각하는 의사 모임은 정부가 9.4 의정합의를 위반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정부가 의대정원 확대 정책 추진 의지를 분명히 하고, 연말까지 의료계 의견을 수렴하되 합의가 되지 않더라도 지체하지 않겠다는 방침까지 밝혔다는 점에서 '일방적 정책 추진을 강행하지 않
조후현 기자23.11.08 12:00
의사 8000명 설문…필수의료 해결돼도 의대 증원 반대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의료계에서는 필수의료가 선결돼도 의대정원 확대에 반대한다는 목소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필수의료 선결 조건부로 찬성하더라도 증원 규모는 500명 이하가 적정하다는 시각이 가장 많았다. 서울시의사회는 6일 의대정원 확대 관련 회원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설문조사는 지난달 20일부터 27일까지 8일간 서울시의사회원을 7972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응답자는 교수가 2935명으로 가장 많았고, 개원의가 2303명, 봉직의 1715명, 인턴·레지던트 등 전공의 848명, 기타 171명 등
조후현 기자23.11.06 12:00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맹탕'…목적·지표 분명히 해야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비대면진료 시범사업이 목적 없는 '맹탕'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계도기간 3개월이 종료된 시점까지도 의료계와 약계, 산업계 등 각기 다른 입장을 정리하지도 못한 데다 시범사업 목적과 지표도 불분명해 입법 공백기 명맥 유지용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제대로 된 시범사업을 위해서는 의료계와 정부가 협의를 통해 정확한 목적과 구체적 사업지표를 설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서울특별시의사회는 6일 성명을 내 정부가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목적과 구체적 사업지표를 설정할 것을 촉구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5월 말
조후현 기자23.09.06 11:58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다국적 제약사 한국법인 CEO 선임 기조는 여전히 '한국인'
2
키트루다, 삼중음성 유방암서 한국인 치료 성적 더 좋게 나왔다
3
'히알루론산 점안제', 약평위에서 결론 지연‥급여기준 추가 검토
4
유한양행, 신약 '렉라자' 딛고 내년 매출 2조원 넘나
5
의대정원 이견 속 '숫자' 논의 조만간…협의점 찾을까
6
희귀의약품 지출 규모 천차만별‥"고가·저가 의약품, 다른 관리 정책 필요"
7
11월 식약처 승인 임상시험 다시 증가…총 92건 승인
8
2024년上 전공의 모집, '가정의학과' 빅5 모두 미달
9
허가 1년만 쾌속 급여 '젬퍼리'…"진행성 자궁내막암 강력한 치료옵션"
10
복지부 가세한 정신질환자 '사법입원제', 갈 길은 여전히 멀다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최근 6개월 간의 기사목록입니다.
로그인을 하시면 전체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