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이찌산쿄 개발 XBB 백신 日 승인
메이지세이카파마 신청 기존바이러스 대응 백신도 승인 [메디파나 뉴스 = 이정희 기자] 다이이찌산쿄가 개발한 일본산 최초의 코로나19 오미크론 하위변이 'XBB.1.5'에 대응한 백신이 일본에서 승인을 취득했다. 이 백신은 일본 후생노동성이 140만회분을 구입하기로 다이이찌산쿄와 합의했으며 다음 주 중으로 지자체에 발송되어 무료접종에 사용될 전망이다.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과 마찬가지로 'mRNA' 로 불리는 유전물질을 사용한 다이이찌산쿄의 백신은 추가접종용이며 12세 이상이 대상이다. 한편 후생노동성은 미국 아크투루스가 개발하고 메이
이정희 기자23.11.29 10:42
싱가포르 NTK, 다이이찌산쿄 상대 손해배상 청구소송
[메디파나 뉴스 = 이정희 기자] 싱가포르 NTK(Northern TK Venture Pte Ltd)가 일본 다이이찌산쿄를 상대로 200억엔의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했다. NTK는 22일 인도 FHL(Fortis Healthcare Limited)의 주식취득과 관련해 다이이찌산쿄가 NTK의 공개매입을 방해했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대해 다이이찌산쿄측은 "NTK의 주장에는 근거가 없고 그 청구는 인정되지 않는다"라고 지적하고, 향후 재판절차를 통해 정당성을 주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NTK는 말레이시아에 본사를
이정희 기자23.11.24 10:20
日 정부, 다이이찌산쿄 코로나19 백신 구입 계약
후생노동성 [메디파나 뉴스 = 이정희 기자] 일본 후생노동성은 17일 다이이찌산쿄가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을 140만회분 구입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후생노동성은 다이이찌산쿄가 신청 중인 백신의 승인을 전제로 12월 초에는 의료기관에 배송을 시작하고 올 가을 시작한 접종에 사용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일본 기업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을 후생노동성이 구입계약을 체결하기는 처음이다. 다이이찌산쿄의 백신은 코로나19의 오미크론 하위변이인 'XBB.1.5'에 대응한 백신으로, 지난 9월 7일 후생노동성에 승인이 신청됐다. 11월
이정희 기자23.11.20 09:52
박수갈채 받은 ADC…'ESMO 2023'서도 핫했다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2023 유럽종양학회(ESMO 2023)에서도 항체약물접합체(ADC) 기반 항암제가 대회 한 페이지를 장식했다. 강력한 세포사멸 기능을 갖추면서도 부작용을 줄이는 링커(Linker) 기술이 항암 치료서 새 트렌드를 여는 모습이다. 지난 20일부터 24일까지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ESMO 2023에서는 주요 ADC 치료제에 대한 임상 세부 데이터들이 공개됐다. ◆ 파드셉, 요로상피암 1차 치료제 급부상 가장 관심을 끈 ADC 치료제는 아스텔라스 '파드셉'(엔포투맙 베도틴)이다. 파드셉은 PD-1 면
최성훈 기자23.10.26 06:06
MSD, 다이이찌산쿄 ADC 3품목 개발·판매 제휴
[메디파나 뉴스 = 이정희 기자] 미국 MSD가 항체약물복합체(ADC) 3품목의 개발·판매와 관련해 20일 일본 다이이찌산쿄와 제휴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제휴로 MSD는 다이이찌산쿄의 독자적 항체약물복합체 기술(Dxd-ADC)을 활용한 항HER3 ADC '파트리투맙 데룩스테칸'(patritumab deruxtecan, HER3-Dxd), 항B7-H3 ADC 'DS-700', 항CDH6 ADC 'DS-600'을 단독 및 병용요법으로 공동개발하고, 일본을 제외한 전세계에서 공동으로 판매하기로 했다. 일본에서는 다이이찌산쿄가
이정희 기자23.10.23 08:59
'엔허투' 美 특허소송서 다이이찌산쿄 패소
항소 등 모든 법적절차 검토 방침 [메디파나 뉴스 = 이정희 기자] 일본 다이이찌산쿄가 항체약물복합체(ADC) '엔허투'의 미국특허를 둘러싼 미국 시젠과의 특허소송에서 패소했다. 미국 텍사스주동부 연방지방법원은 18일 다이이찌산쿄의 주장을 기각하는 판결을 내리고, 다이이찌산쿄에 4180만달러의 손해배상액과 2024년 11월 4일까지 엔허투의 미국 매출액에 대한 8%의 로열티를 시젠측에 지불하도록 명령했다. 다이이찌산쿄는 이번 판결에 불복하고 미국 연방순회항소법원에 공소를 포함해 모든 법적절차를 검토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 소송은
이정희 기자23.10.19 09:45
[수첩] 'ESMO 2023'과 다이이찌산쿄
오는 20일부터 24일까지 '2023 유럽종양학회(ESMO 2023)'가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다. 유럽 최대 규모 암 관련 학회인 ESMO는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미국암학회(AACR)와 함께 세계 3대 암 학회로 꼽힌다. 전 세계 약 170개 국 암 연구자와 글로벌 제약·바이오 업계 관계자 등 3만명 이상이 참여해 암 최신 치료 지견을 나눈다. 그런데 이번 ESMO 2023에서 단연 눈에 띄는 기업이 있다. ESMO 2023 온라인 프로그램 단독 후원을 맡은 일본 제약기업 다이이찌산쿄다. 다이이찌산쿄는 원래
최성훈 기자23.10.19 06:00
유럽 최대 암학회 'ESMO 2023'…암 전문가 시선 사로잡을 임상연구는?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2023 유럽종양학회(ESMO 2023)'가 오는 20일부터 24일까지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개최된다. 유럽 최대 규모 암 관련 학회인 ESMO는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미국암학회(AACR)와 함께 세계 3대 암 학회로 손꼽힌다. 1975년 설립된 ESMO는 전 세계 약 170개 국 암 연구자와 종양 전문의, 글로벌 제약 바이오 업계 관계자 등 3만명 이상이 매년 참여하고 있다. 올해도 프레지덴셜 심포지엄을 비롯한 스페셜 심포지엄 등 총 260개 세션과 2185개 초록을 통해 암 치료 최신 지견
최성훈 기자23.10.18 06:08
다이이찌산쿄 연구개발 자회사 폐쇄
[메디파나 뉴스 = 이정희 기자] 일본 다이이찌산쿄는 7일 신약 연구개발 자회사인 다이이찌산쿄 RD노바레를 내년 3월 말 폐쇄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연구개발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다. 자회사가 가진 기능은 다이이찌산쿄가 흡수하고 신약개발의 의사결정 속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RD노바레는 다이이찌산쿄의 신약 및 임상개발 지원업무를 담당하는 회사로서 2006년 설립됐으며, 약물의 토대가 되는 화합물이 약물이 될 수 있는지 조사하는 시험 등을 담당해 왔다. 약 400명의 직원은 그룹사로 이전하는 등 고용은 유지할 전망이다. 다이이찌산
이정희 기자23.08.08 10:31
한국다이이찌산쿄, 지역사회 심폐소생술 보급 캠페인 성료
한국다이이찌산쿄주식회사(대표 김정태)는 지난 17일 창립기념일을 맞아 '제5회 진심 캠페인'을 개최하고, 임직원 70여명이 전문 강사로 참여해 서울 북가좌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교육을 진행했다. '진심 캠페인'은 심혈관계 전문회사로서 한국다이이찌산쿄의 임직원이 지역사회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자 초등학교 등을 방문해 심폐소생술 교육을 시행하는 차별화된 사회공헌활동이다. 2015년 제약업계 최초로 전 직원이 심폐소생술 강사 자격을 취득하고, 2016년부터 매년 창립기념일에 서울지역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및
최성훈 기자23.07.18 14:33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다국적 제약사 한국법인 CEO 선임 기조는 여전히 '한국인'
2
키트루다, 삼중음성 유방암서 한국인 치료 성적 더 좋게 나왔다
3
'히알루론산 점안제', 약평위에서 결론 지연‥급여기준 추가 검토
4
J&J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 연매출 50억 달러 자신"
5
유한양행, 신약 '렉라자' 딛고 내년 매출 2조원 넘나
6
'네시나메트' 개선 나선 셀트리온, 특허 등재까지 마무리
7
의대정원 이견 속 '숫자' 논의 조만간…협의점 찾을까
8
희귀의약품 지출 규모 천차만별‥"고가·저가 의약품, 다른 관리 정책 필요"
9
政,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지침개정 확정…醫·藥·患 반대 속 강행
10
지난해 심평원이 잘한 점?‥'의료비 절감'과 '신약 관리 체계 구축'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최근 6개월 간의 기사목록입니다.
로그인을 하시면 전체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