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GC녹십자는 다양한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추진하기 위해 움직였다. 대학교와 공동으로 바이오헬스 분야 첨단 융합연구를 진행하고, 보스턴 C&D 인큐베이션 센터형 산학협력 모델로 글로벌 인재를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보스턴 C&D 인큐베이션 센터형 산학협력 모델은 미국 진출을 희망하거나 진출한 제약바이오 기업 또는 연구소를 대상으로 컨설팅을 제공한다. 인재 육성 프로그램, 제약바이오 분야 현지 기업 및 기관 네트워킹 행사, 학술적 교류도 지원한다.
GC녹십자가 아주대학교와 맺은 업무협약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 회사 관계자는 이번 협약을 통해 산학협력 체계를 강화함으로써 차세대 바이오헬스산업 분야를 이끌어갈 미래 인재 육성과 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며, 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업무협약 주요 내용은 ▲산업체 수요 맞춤형 산학협력 교육과정 기획 및 운영 협력 ▲양 기관의 공동 연구개발 및 산업체 기술자문 세미나, 연구발표회, 초청강연 등 교류 프로그램 운영 ▲혁신 인재 양성을 위한 3, 4학년 학생 대상 학점연계형 실무현장교육 ▲학부 4학년 졸업대상 취업연계형 인턴십 지원 ▲석·박사 대학원생 공동연구노트 경진대회 등이다.
지난해 8월엔 성균관대학교와 인재 양성 및 학술교류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우수 인재 양성과 연구개발 성과 제고를 목표로 상호 협력하기 위해서다. ▲바이오의약 관련 공동 연구 및 기술 협력 ▲연구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공동 수행 ▲전문가 양성을 위한 공동 교육 및 인턴십 ▲세미나 및 연구발표회, 초청강연회 등 상호교류 등 아주대 업무협약과 유사한 내용이 있다.
유유제약은 산학협력으로 대학생 실무 경험 향상을 지원했다. 현장실습에서 직무능력 향상을 목표로 맞춤형 교육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이 회사는 지난달 세명대학교와 관련 협약을 체결하며, 충북바이오헬스산업혁신센터에서 운영하는 Bio-Pride 기업트랙 분야 일환으로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산학협력은 지역 일자리 창출까지 연결됐다. 이 회사는 현장실습에 참여한 바이오제약산업학부 재학생을 평가하고 채용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기로 약속했다. 박노용 유유제약 대표는 산학협력을 통해 기업에 필요한 인재 확보와 함께 충북 바이오헬스 분야 일자리 창출 및 지역인재 고용 촉진이라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올바이오파마는 약대 재학 또는 휴학 중인 학생에 미국 신약 개발 현장학습, 전문가 멘토링 등 기회를 제공했다. 지난해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선발된 약대생이 글로벌 바이오 기업이 밀집한 보스턴 방문, 의료진 대상 심포지엄 행사 참여 등을 통해 제약바이오 산업 트렌드를 학습하고 실무를 경험할 수 있도록 도왔다.
미국 투어에 참여한 대학생 A씨는 이번 투어에서 "업계의 다양하고 선구자적인 분들을 만나 기존의 사고방식을 완전히 바꿀 수 있었던 계기가 됐다"며 "이번 경험을 밑거름 삼아 독자적인 길을 만들기 위한 고민을 지속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