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전국 응급실이 추석연휴 동안 인력부족으로 인한 진료제한 메시지를 총 645건 접수했으며, 이는 지난해 추석 대비 약 70%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2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실은 국립중앙의료원으로 제출받은 '중앙응급의료센터 종합상황판 진료제한 메시지 표출현황'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이에 따르면, 2024년 추석 연휴 5일간(9.14~9.18) 전국 병원 응급실에서 중앙응급의료센터로 알린 진료제한메시지는 총 1879건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추석(총 1523건)보다 23.4%(+356건) 증가했다. 지난해는 올해 추석연휴보다 하루 더 많은 6일이나 됐던 점을 고려해보더라도 늘어난 수치다. 추석연휴 일평균 진료제한메시지는 올해 376건, 2023년 254건이었다.

특히 인력부족으로 인해 표출된 진료제한메시지가 올해 추석 연휴기간에 총 645건으로 전체 진료제한메시지의 34.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추석연휴(총 383건)에 비해 68.4%(+262건)나 증가한 것이다.

날짜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추석과 마찬가지로 추석연휴 첫날인 14일(총 539건)에 가장 많은 진료제한 메시지가 표출됐다. 이 중 41.2%인 222건이나 되는 메시지가 인력부족을 호소한 것이다.

응급의료기관별로 살펴보면, 2024년 추석연휴기간 권역응급의료센터의 진료제한 메시지는 총588건으로 2023년 추석연휴(총597건)에 비해 소폭 감소했다. 반면 진료제한 메시지가 가장 많았던 지역응급의료센터는 올해 추석연휴기간 총 934건으로, 지난해 추석연휴(총 759건)에 비해 23.1%(+175건)나 증가했다.

지역응급의료기관(총357건) 또한 2023년 추석연휴(총167건)에 비해 113.8%(+190건)이나 늘었다.

2024년 추석연휴 동안 응급의료기관별 인력부족 진료제한메시지는 권역응급의료센터의 경우 전체 588건 중 256건(43.5%)나 됐던 것으로 나타나 2023년 추석연휴 때(158건)보다 +98건이나 많았다.

지역응급의료센터 또한 2023년 추석연휴 때보다 +157건(2024년 357건 vs 2023년 200건), 지역응급의료기관은 +7건(2024년 32건 vs 2023년 25건) 더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김선민 의원은 "보건복지부는 이번 추석 연휴기간 응급실을 찾는 환자들이 지난해 추석에 비해 30%이상 감소해 큰 혼란이 없었다며 자화자찬하고 있지만, 실제로 그 응급실에서 진료를 해야 하는 의사들의 혼란은 지난해 추석연휴 때보다 더 많았음을 진료제한 메시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언제까지 아픈 국민들에게 응급실을 가지 말라고 응급실 진료비를 올려가며 겁박을 할 것인가? 내년 설에도 내년 추석에도 아픈 국민들에게는 응급실을 가지 않길 바라고, 의사들에게는 명절에 근무하면 진찰료 더 주겠다고 할 것인가? 과연 이것이 올바른 국정방향인가? 보건복지부는 무리한 의대증원 확대로 인해 병원을 떠난 전공의와 의사들이 병원으로 다시 돌아올 수 있는 근본적인 대안을 빠르게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