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지난 2월 의과대학 증원 발표 이후 주요 대학병원을 사직한 전문의 수가 2700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2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한지아 국민의힘 의원실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월부터 8월까지 7개월 간 전국 40개 의대와 연계된 88개 수련병원에서 사직한 전문의 수는 2757명이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2559명이 사직한 것에 비해 7.7% 늘어난 규모다.

지역별로는 서울 내 대학병원에서 사직한 전문의가 1381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기도 491명, 부산 145명, 대구 134명, 인천 105명, 경남 87명, 광주 67명 등으로 조사됐다.

진료과목별로는 내과가 864명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청소년과 194명, 정형외과 185명, 외과 174명 등이 뒤를 이었다.

전체 전문의 수 대비 사직자 비율로는 응급의학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조사기간 전체 2370명 중 5.5%인 130명이 사직했다.

현재 대학병원에서는 의대정원 증원 정책 발표 후 전공의 집단 사직이 이뤄짐에 따라, 남아있는 전문의 업무가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일선 전문의들은 '번아웃'과 이에 따른 진료 위험을 호소하고 있으며, 일부 전문의들은 업무 가중과 번아웃 등을 이유로 사직에 나서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상급종합병원 구조를 중증 중심으로 전환하는 것과 PA 간호사 활용도를 높여 대응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전문의 사직이 늘어나는 것과 함께 내년에 신규로 배출되는 의사 수가 크게 줄어드는 것도 문제다.

교육부에 따르면, 내년 초 전문의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전공의는 576명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진다. 이는 평년 대비 20% 수준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