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은혜 보건복지부 보건의료데이터진흥과장이 31일 '제7회 AI 파마 코리아 컨퍼런스'에서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사업'에 대해 설명했다.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정부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 개발을 돕고 있다. 국내 제약바이오산업이 정부 지원에 힘입어 신약 개발에서 한 단계 도약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심은혜 보건복지부 보건의료데이터진흥과장은 31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7회 AI 파마 코리아 컨퍼런스'에 나와, 신약 개발 지원을 위한 정부 업무에 대해 설명했다.

이날 컨퍼런스에 청중으로 참석한 한 바이오 연구 관련 업체 관계자는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사업'과 관련해 "(해당 사업이) 공공병원이나 국립병원 위주로 진행되는 것 같은데, 민간 기관과 협력은 어떻게 진행되는 것인가"라고 질의했다.

심 과장은 이에 대해 "이번 사업이 의료데이터를 다루기 때문에, 참여하는 기관은 의료기관일 수밖에 없다"면서 "공공과 민간을 구분하지 않는다. 상당히 많은 민간 의료기관도 참여하는 중"이라고 답변했다.

아울러 "연구 목적으로 개방되기에 연구개발을 진행하는 제약사가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해외보다 국내 연구에 먼저 활용할 수 있게 초점을 맞췄고, 연구자에게 개방할 땐 특정 업체를 배제할 계획은 없다"고 부연했다.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사업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연구개발(R&D) 사업이다. 정부는 해당 사업에서 임상 정보, 유전체 등 오믹스(Omics) 데이터, 공공데이터, 개인보유 건강정보 등을 통합해 연구용으로 개방할 계획이다.

심 과장은 이번 사업을 올해부터 본격 추진하고 있다며, 대규모 바이오 빅데이터가 신약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전장유전체분석(WGS) 데이터 등을 신약 개발 과정에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암 환자에 대한 WGS 데이터와 오믹스 데이터를 각각 추출해 활용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며 "유전체 같은 무거운 데이터와 가벼운 데이터를 구분해서 복잡하지 않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5년 동안 진행하는 사업을 통해) 희귀질환 4만7000명, 중증질환 14만명, 일반인 58만5000명 등 77만2000명 검체를 확보할 것"이라며 "혈액과 소변을 포함한 유형 데이터와 무형 데이터가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모든 참여자를 대상으로 전장유전체분석이나 오믹스가 되는 건 아니지만, (데이터) 자원이 뱅킹되고 있기에 나중에 연구 수요에 따라 추가로 생산되거나 연계될 가능성은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질의응답 과정에선 국내 제약업체 현직자가 신약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영역마다 필요한 데이터가 다를 수 있다며, 진행 중인 연구나 개발에 적합한 데이터를 어떻게 찾을 수 있는지 묻는 질문도 나왔다.

오경석 대웅제약 신약Discovery센터 연구위원은 "신약 개발도 전 주기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자기가 원하는 데이터를 빨리 찾으려면 분야에 따라서 어디를 먼저 접촉해야 하는가"라고 물었다.

심 과장은 이에 대해 "연구하는 입장에선 어디에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접근할 수 있는지 아는 것도 되게 중요한 것 같다"면서 "그런 부분에 대해 정부가 노력을 해야 하는데, 데이터 지도 같은 걸 만들어 제공하는 방안을 고민 중"이라고 답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