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셀트리온은 19일 회사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회사에서 검토 중인 대응 전략을 밝혔다.
셀트리온은 "약가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의약품 관세는 오히려 약가 인하를 위해 눈에 띄는 제도적 노력을 보였던 트럼프 대통령의 과거 기조와 정면으로 배치되는 정책 방향성을 보여주고 있다"며 "또한 이달 12일에는 미국 공화당 소속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이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를 통해 의약품 등 일부 품목은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는 의견도 밝힌 바 있어 실제 의약품 관세 시행 여부에 대해서는 여전히 관망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어 "2025년 미국에서 판매 예정인 회사 제품에 대해 1월 말 기준 약 9개월 분의 재고 이전을 이미 완료함에 따라 의약품 관세 부과 여부와 상관없이 올해 미국 내 판매분에 대해서는 그 영향을 최소화시킨 상황"이라며 "CMO를 통한 생산은 의약품 업계에서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관세 리스크 발생 이전부터 현지 CMO 업체를 통해 완제의약품(DP)을 생산해 오고 있으며, 이들 제조소와의 협의를 통해 추가 생산 가능 물량도 이미 확보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의약품에 대해 관세 부과가 되는 경우 2025년의 영향은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대응을 완료했다는 설명이다.
또한 올해 상반기 중 투자 결정 대응에 대해 원료의약품 수출 집중 및 현지 생산시설 확보를 검토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셀트리온은 "이미 관세 부과 시 완제의약품보다 세부담이 훨씬 낮은 원료의약품(DS) 수출에 집중하고 있으며, 충분한 제조 역량을 갖춘 현지 CMO 업체들과 제품 생산 협력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며 "의약품 관세 부과 여부 추이에 따라 필요 시 현지 완제의약품 생산을 지금보다 더욱 확대하는 전략으로 상황 변화에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지난해부터 구체적 검토를 진행해 온 미국 현지 원료의약품 생산시설 확보도 올해 상반기 중 투자 결정을 마무리해 보다 근본적이고 지속 가능한 보호무역 리스크 대책을 빠르게 마련하고자 한다"며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향방과 관련해 모든 상황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