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선고 이후 60일 이내 치러질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겨냥해, 보건의료 분야의 공약화를 주도하고 의사인력 수급의 과학적 분석체계 구축에 착수했다.
보건의료 정상화를 위한 정책 기반 마련에 의협이 직접 드라이브를 걸고 나선 것이다.
의협은 10일 '(가칭) 대한의사협회 대선공약준비TF'를 구성했다고 밝혔다. 각 정당 대선후보들의 공약에 의료계의 정책 수요가 반영되도록 보건의료 콘텐츠 개발에 착수했다. TF는 김창수 의협 정책이사가 위원장을, 안상준 기획이사가 간사를 맡았다.
이와 함께 의협은 내부에 '대선기획본부 및 지원단'도 구성했다. 의협은 이 조직을 통해 향후 대선 정국에서 정책 중심 단체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의료계의 정치 역량을 제고하는 동시에 구체적인 보건의료 정책 제안의 실현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의협은 동시에 중장기 인력 정책의 체계화를 위한 조직도 신설한다.
지난 2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보건의료기본법 개정안에 따라, 보건의료인력의 수급을 과학적·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가칭) 대한의사협회 보건의료인력 양성지원기구 설립추진위원회'를 구성한 것이다.
위원장은 김창수 정책이사, 간사는 김민수 정책이사가 맡았으며 위원으로는 문석균 의료정책연구원 부원장, 박형욱 단국대 의대 교수, 강대용 연세대 원주의대 의학통계학 교수가 참여한다.
의협은 이 기구를 통해 보건의료인력 수급 추계를 계량적으로 분석하고, 추계모형의 객관성과 정합성을 확보해 정부의 인력정책에 과학적 근거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