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후보 당시 의대생 복귀를 직접 촉구하기도 했다. 개인 SNS를 통해 "의대생 여러분, 다시 의료교육 현장으로 돌아와 주십시오"라며 "의료 정상화를 위한 약속만큼은 함께 지켜냅시다. 그것이 정치가 국민 앞에 해야 할 최소한의 책임입니다. 그러기 위해선 무엇보다 여러분께서 먼저 돌아와 자리를 지켜주셔야 합니다"라고 호소했다.
의대생 복귀와 의료정상화를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고 있지만 국민적인 여론에 반하면서 친의료계 정책을 펴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 관계자는 의과대학 3개 학번이 한꺼번에 교육을 받아야 하는 극단적인 상황까지 가지 않도록 정부와 의료계가 조속히 현실적인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는 시각을 나타냈다.
그러면서도 이러한 해결책을 모색할 때 국민의 보편적인 정서나 인식을 거스르는 방식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사회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선에서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의료계 일각에서는 새 정부가 의대생과 전공의 복귀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신뢰회복을 위한 조치와 함께 실질적이고 포괄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A의대 교수는 메디파나뉴스와의 통화에서 "의정갈등의 단초를 제공했던 의대 정원 2000명 증원 결정의 근거와 절차에 대한 철저한 검증과 진상 규명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의료 현장의 목소리를 배제한 채 일방적으로 정책을 추진한 책임자에 대한 분명한 처벌이 있어야 한다. 이는 의대생·전공의는 물론 의료계와의 신뢰를 회복하는 기반이 될 것"으로 강조했다.
또한 '의료인력 수급추계위원회'의 합리적이고 투명한 운영 보장과 윤석열 정부가 필수의료 강화를 명분으로 내세운 '필수의료 패키지'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봤다.
아울러 전공의와 의대생들의 복귀를 위해 유급, 제적으로 인한 재입학 문제, 병원 내 복귀 절차 등에 대한 명확한 기준과 보호장치 마련 등 의료계와 복귀 논의를 위한 구체적이고 현실성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공의·의대생 복귀 문제를 두고 내부에서도 변화의 기류가 감지된다. 단일한 목소리를 내던 분위기 속에서 이탈과 복귀를 고민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이 확산될 경우 복귀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B대학병원 사직전공의는 "단일대오를 유지해 왔던 의대생들이나 전공의들이 더 이상 시간을 끈다고 해도 얻을 수 있는 것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균열이 늘어나다보면 둑이 무너지듯 복귀 흐름이 커질 수도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부도 손을 내밀어줘야 할 것"이라고 봤다.
이어 "국민 여론도 감안해야 겠지만 보건의료공약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의료계의 협조 없이는 불가능하다"며 국민적 여론과 의료계 요구의 절충안의 필요성을 시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