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불법 리베이트'는 오랫동안 제약업계를 괴롭혀 온 원흉이자, 족쇄였다. 리베이트는 모든 산업에 활용되는 마케팅 기법 중 하나지만, 의사 진료와 처방에 따라 사용되는 '의약품'을 다루고 있는 제약업계에서만큼은 '불법'이었다. 그 때문인지 유독 제약업계를 향한 윤리 경영 요구는 더 엄격했고, 제약업계를 바라보는 사회적 시각 한 편에는 늘 불법이 자리했다. 드라마와 영화 소재로도 여러 번 사용된 것은 이를 방증한다.

그 때문인지 십여년 전만하더라도 업계에서는 마치 '금기어'처럼 취급됐다. 바깥에서 불법으로 변질된 산업이라는 인식이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안에서는 더 철저히 감추려고 하는 데에만 급급했다. 자신감은 부족했고, 떳떳함보다는 부끄러움이 자리했다.

이를 바꾸기 위한 업계 자정 노력은 끊임없이 이어져왔고,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이제 업계에서는 정기적으로 '공정거래 자율준수프로그램 운영현황'을 공시해 CP(공정경쟁규약) 관련 경영사항을 대외적으로 공표하고 불법 예방에 힘쓰고 있다. 업계를 대표하고 있는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도 정기적으로 KPBMA 윤리경영 워크숍을 개최해 윤리경영 강화를 꾀하고 있다.

정부가 마련한 리베이트 약가인하 연동제도, 경제적이익 지출보고서 제출 의무화 등도 제약업계 자정 노력에 힘을 보탰다.

이같은 여러 노력들은 내부 인식에 영향을 줬다. 업계에 불법 리베이트 이슈가 돌 때는 물론이고, 평상시에도 막상 따지고 물어보면 업계 관계자들 대체로는 '이제는 불법 리베이트를 할 수가 없는 구조', '실상 없다고 보는 것이 정설', '극히 소수는 있을지언정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 등 이전과는 달라졌음을 짐작하는 평가가 주류를 이룬다.

한편에서는 불법 리베이트 이슈에 대해 '진짜야?'라는 되묻는 반응까지도 나온다. '역시나', '또 걸렸구나' 등과 같은 선입견은 조금이나마 벗어낸 분위기가 뚜렷하다.

한 업계 관계자는 "회사 시스템적으로 감시 체계가 삼엄한 수준이다. 영업과 관련된 보고 체계도 철저한 상황이다. 만일 이같은 구조에서도 리베이트가 이뤄진다면, 지극히 개인적 일탈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며 "사회적으로도 여러 규제가 있지만, 범죄는 일어나지 않나. 이같은 일탈을 원천 차단하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결국 이제는 불법 리베이트가 드러나면 이른바 업계 이미지를 무너뜨리는 '배신자'로도 낙인이 찍힐 수 있는 셈이다.

그만큼 당당해질 때도 됐다. 이제 불법 리베이트로 만연한 산업이라는 선입견과 낙인을 당당히 지워내야 한다. 내부 인식에서 나아가 사회적 시각까지 신뢰가 쌓이도록 하기 위해선 먼저 그 이슈에 당당해져야 한다. 의혹이 제기됐다고 하더라도 쉬쉬해서는 끝나지 않는 법이다. 불법 리베이트는 더 이상 금기어가 돼선 안 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