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올해 상반기에 6개월 동안 2400여명이 입대해 지난해보다 60% 늘어난 것으로 확인된다.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는 병무청을 대상으로 한 정보 공개 청구에서 올해 6월 의대생 현역 및 사회복무요원 입영자의 수가 592명인 것을 확인했다고 11일 밝혔다. 의정갈등 이후 누적으로는 3967명으로 확인됐다.

입영자 592명 중 현역 입대인원은 577명(병무청 현역입영과 추계), 사회복무요원 입대인원(병무청 사회복무관리과 추계)은 15명이다.

또 올해 상반기 6개월 동안 2430명이 입대해, 1537명이 입대한 지난해 대비 약 1.6배인 것으로 조사됐다.

앞서 대공협은 360페이지 분량의 보고서를 통해 의정갈등 이후 '7000명'이 입대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이성환 회장은 "의정갈등으로 인한 의료 공백은 윤석열 정부의 강압적 정책에서 비롯된 명백한 인재"라며 "군복무 단축을 통해 전문의를 조기 배출하면 1년간의 공백을 효과적으로 메우고, 군과 공공의료 등 취약지 진료를 안정적으로 지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공중보건의사와 군의관은 이번 의료갈등 속에서도 가장 취약한 의료현장에서 단 한 순간도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왔다"며 "특히 비정상적·비효율적인 대학병원 파견이라는 위기 속에서도 국가 의료인력으로서의 책임을 다하고, 합리적 근거를 제시해 지역 응급실과 격오지로 복귀함으로써 지역 의료 공백을 최소화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올해 1년 차로 입대한 공중보건의사와 군의관 상당수는 고년차 전공의로, 앞으로 3년간 지역의료에 헌신할 준비가 돼 있다"며 "이들이 복무를 마친 뒤에도 의사로서 역량을 온전히 이어갈 수 있도록 합리적인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에는 국가가 이들의 의사로서의 길이 군복무로 인해 단절되지 않도록 지켜달라. 이는 특정 집단에 대한 특혜가 아니라, 전문 의료인력을 국가와 지역사회에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라며 "의료 의제에서 소외된 고년차 전공의들의 수련 연속성이 무너지지 않도록 하는 방안 마련에 대공협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