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2025년 하반기 전공의 모집을 통해 상당수 전공의가 병원 현장으로 복귀했지만, 응급의학과 충원율은 전국적으로 40%대 초반에 머물러 응급의료체계 안정화를 논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전공의 복귀를 단순히 정상화로 볼 수 없으며, 응급의료를 유지하기 위해 한시적 지원책의 상시화와 전문의 보상 확대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경원 대한응급의학회 공보이사는 2일 SNS를 통해 "응급의학과 전공의 충원 부족은 의료공백을 메우기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며 "전공의 복귀를 정상화로 치부하고 그간 운영된 한시적 지원책이 '건보 재정 고갈'을 이유로 중단된다면 응급의료 현장은 버틸 수 없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와 수련환경평가위원회가 이날 발표한 '2025년도 하반기 전공의 모집 결과'에 따르면 전체 전공의 수는 1만305명으로 예년의 76.2% 수준을 회복했다. 수도권 수련병원 모집률은 63%, 비수도권은 53.5%였지만 응급의학과는 각각 42.5%, 41.5%에 그쳤다.

이경원 공보이사는 일부 병원별 상황은 평균 수치보다 훨씬 심각하다고 설명했다. 수도권 소재 권역응급의료센터 한 곳은 기존 전공의 8명 가운데 단 한 명도 복귀하지 않았고, 국내 대형병원 중 한 곳은 복귀율이 33%에 불과했다. 전공의 16명이 수련하던 또 다른 권역응급의료센터는 단 4명만이 돌아와 정상적인 진료와 수련이 어려운 실정이라는 것이다.

이 공보이사는 "응급진료는 물론 정상적인 수련조차 어려운 상황"이라고 지적하며 "지난 1년 반 동안 1600여 명의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전공의 없이 권역응급의료센터와 지역응급의료센터에서 중증 응급환자 진료를 맡아 응급의료체계를 유지해 왔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응급진료 전문의 진찰료의 한시적 인상을 상시화해야 하고, 인상분의 절반 이상을 전문의에게 직접 보상하는 제도도 정착시켜야 한다"며 "응급의료의 특성을 고려할 때 야간·휴일 진료 가산도 반드시 적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응급의학과의 현실이 전체 전공의 복귀율에 가려져서는 안 된다"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응급의료체계 유지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