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최근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비대면 진료 등 신산업 활성화 추진과 맞물리며 제도화를 위한 급물살을 탈 수도 있다는 의미로 풀이되며 향후 정책 추진 방향에 귀추가 주목된다.
이중 가장 눈길을 끄는 부분은 필수적인 의료 수요를 지역 내에서 해결할 수 있는 지역 완결형 보건의료체계 구축이다.
정 후보자는 이를 위해 지역 필수 의료체계 육성을 비롯해 취약지·만성질환 대상 동네 병의원의 비대면 진료 활성화를 내세웠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한시적 비대면 진료 허용 공고 이후 의료계에서도 비대면 진료 흐름에 대비한 준비를 하고 있는 등 비대면 진료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앞서 대통령직인수위원회를 통해 비대면 진료 법 개정 추진 등의 제도화 의지를 보여준 데 이어 정호영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의 의지도 드러나면서 새 정부 들어 비대면 진료 활성화 정책 추진이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정 후보자는 코로나19의 재유행에 대비한 의료체계의 정비와 안정적인 일상 회복을 위한 감염병 대응체계 개선도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중앙 및 지역 감염병전담병원 건립, 의료인력 양성 및 확충, 상병수당 도입, 신속한 백신·치료제 개발체계 구축, 과학방역체계 등도 언급했다.
아울러 정 후보자는 돌봄과 의료가 융합된 수요자 중심의 보건복지체 혁신을 위해 통합판정을 통한 요양시설과 요양병원간 기능 연계, AI-IoT 기반 사회서비스 혁신, 양질의 사회서비스 산업 발전 및 일자리 확충 등도 추진하기로 했다.
정 후보자는 "보건복지의 미래와 정책에 대해 인사청문회를 통해 설명드리는 자리가 되길 소망한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