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파나뉴스 = 조운 기자] 코로나19 재유행이 심화되고 있지만, 방역 정책을 진두지휘할 복지부 장관은 공석이다.

코로나19를 '독감' 수준으로 바라보며 개인 방역 수칙마저도 소홀히 하는 분위기가 커지는 가운데, 현 상황을 국민에게 정확히 전달하고 현 상황을 책임질 복지부 장관이 없다는 사실은 코로나19와의 전쟁에서 큰 약점인 것이 사실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문재인 정부의 영업 제한 및 사적 모임 제한을 담은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 정책을 '정치 방역'이라고 치부하며 반대해왔다.

코로나19가 국내로 유입되고 지난 2년 반, 보건복지부 장관은 크고 작은 코로나 웨이브에서 전면에 나서 국민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협조를 구하는 등 역할을 수행했다.

실제로 국민들은 권덕철 전 복지부 장관과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의 모습을 보고 든든함을 느꼈고, 두렵지만 백신 접종에 나섰고, 피해를 감수하고서라도 고강도의 '사회적 거리두기'를 납득하고 실천했다.

이제 코로나19의 양상이 변화했고, 물리적 방역을 대체할 백신과 치료제가 개발됐기에 방역 대책도 바뀌어야 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여전히 백신 접종과 개인 방역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물론 복지부 장관이 공석이라고 해서 방역 정책에 구멍이 나는 것은 아니다.

이기일 보건복지부 2차관을 비롯해, 백경란 질병관리청장, 국가감염병위기대응 자문위원회의 보건의료전문가 등이 그 빈자리를 채우며 '과학방역' 대책을 세우고 있다.

그러나 ‘국가 방역’을 전면으로 책임질 사령탑이 부재한 상황에서, 국민의 불안은 커질 수밖에 없다.

의료계 전문가들은 현 코로나 변이가 중증도는 낮지만, 여전히 고위험군에게는 위험함을 지적하며, 전파력이 높기 때문에 나와 내 주변을 위해 반드시 개인 방역을 준수하고 백신을 접종하라고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경각심이 사라져 개인 방역 수칙도 준수하지 않는 휴가철 시민들의 모습,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대한 기피현상 심화는 현 복지부 장관의 부재를 탓하지 않을 수 없게 한다.

올바른 '과학방역'이 국민에게 전달되려면 통일된 소통 통로와 믿을 수 있는 리더가 필요하다. 그래야 코로나19의 긴 터널도 안전히 빠져나올 수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두 번의 복지부 장관 낙마 이후로 다음 후보자 지명에 장고하고 있는 상황에서, 피해를 보는 것은 우리 국민이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