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최근 아세트아미노펜 급여 제품을 생산하는 30여 개 제약사를 대상으로 10월 말까지 원가자료 등을 제출하도록 안내했다.
감기약 수급 안정화를 위해 사용량-약가 연동제에서 제외하는 것에 더해 약가조정 신청제도를 통해 해당 제약사들이 자료를 제출하면 이를 근거로 약가인상을 추진, 감기약 공급을 더욱 활성화하려는 취지다.
정부의 이 같은 움직임에 대해 제약업계는 긍정적인 모습이다. 수익이 크지 않은 제품을 생산하느라 많은 자원이 투입됐는데, 이제는 이에 대한 보상이 이뤄질 것이라 기대하고 있는 것이다.
동시에 약가 인상이 생산 확대에 어느 정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제약사 입장에서는 약가가 인상되면 더 많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고, 이는 생산 확대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약가 인상으로 기대할 수 있는 수익 증가폭에 따라 감기약 생산량 증가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겠지만, 생산량이 일부 늘게 되면 장기적으로 수급난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원재료와 인건비 등 물가가 많이 올랐고, 따라서 생산에 있어 빡빡하게 돌아가는 부분이 있었다"면서 "그런 점에서 본다면 약가인상이 수급해결에 절대적인 해결요인이 되지는 않겠지만, 한 가지 요인이 될 수는 있을 것 같다"고 전했다.
아울러 "그동안 제약사들이 다른 품목을 생산해 더 많은 수익을 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감기약 위주로 생산해 사회적 책임을 다 해왔다"면서 "이렇게 계속 운영된다면 겉으로는 집중적으로 감기약을 생산한다고 하면서도 적극적으로 하지는 않을 가능성이 있는데, 장기화된다고 하면 약가 인상이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된다"고 덧붙였다.
단, 약가 인상 논의 시점에 대해서는 다소 아쉬움이 남는 분위기다.
복지부는 제약사가 자료를 제출하면 최대한 빠르게 검토하고 협상을 진행하겠다는 방침이지만, 절차에 필요한 일정을 생각하면 적어도 내년 2월은 돼야 실제 약가 인상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만약 그 사이에 코로나19 팬데믹이 완연한 안정세로 돌아서게 되면 약가 인상을 통한 수익 증가는 기대하기 어렵게 된다.
업계 관계자는 "늦은감이 있는 것 같다"며 "복지부가 최대한 일정을 당기는 분위기인 것 같다. 실효성 있게 하려면 빨리 해주는 게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