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의료계에서는 필수의료가 선결돼도 의대정원 확대에 반대한다는 목소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필수의료 선결 조건부로 찬성하더라도 증원 규모는 500명 이하가 적정하다는 시각이 가장 많았다.
서울시의사회는 6일 의대정원 확대 관련 회원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설문조사는 지난달 20일부터 27일까지 8일간 서울시의사회원을 7972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응답자는 교수가 2935명으로 가장 많았고, 개원의가 2303명, 봉직의 1715명, 인턴·레지던트 등 전공의 848명, 기타 171명 등 순으로 많았다.
응답자 77%는 필수의료 대책이 선결된다는 조건을 단 의대정원 확대에도 반대했다.
반대 비율은 전공의가 92%로 가장 높았고, 봉직의가 84%, 기타 81%였다.
조건부 찬성 비율은 교수가 30%로 가장 높았고, 개원의가 25%로 뒤를 이었다.
필수의료 선결 조건 아래 의대정원 확대에 찬성하더라도 대다수는 적정 규모를 500명 이하로 봤다.
100~300명이 35%, 300~500명이 31%, 100명 이하가 12%로 전체 78%를 차지했다. 500~1000명은 11%, 1000명 이상이 8%였다.
의대정원 확대를 반대하는 이유로는 필수의료 해결책이 아니라는 응답이 95%로 가장 많았다. 의사 과잉 공급으로 인한 의료비 증가 및 국민건강 피해가 56%, 이공계 학생 이탈로 인한 과학·산업계 위축 우려가 48%로 뒤를 이었다.
박명하 서울시의사회장은 "이번 설문조사에는 특히 젊은 의사들이 의대정원 확대에 대한 우려가 크고 해답이 아니라는 뜻이 반영됐다고 생각한다"며 "정부 강행에 대한 의사 회원 우려가 큰 만큼, 9.4 의정합의를 이행하고 의정협의체에서 원점부터 논의했으면 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