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대한전공의협의회에 따르면, 내년 상반기 전국 수련병원 레지던트 소아청소년과 모집 정원은 205명인데 반해 지원자는 53명을 기록했다. 지원율로는 25.9%다.
빅5로 불리는 서울아산병원과 서울성모병원은 정원을 채웠지만, 세브란스병원은 지원자가 단 1명도 없었다.
지방 국립대에서도 부산대, 양산부산대, 경북대, 칠곡경북대, 제주대, 울산대병원에서는 지원자가 1명이었다.
강원대, 경상대, 창원경상대, 충남대, 세종충남대, 충북대, 전북대, 전남대병원에서는 소아청소년과 지원자가 없었다.
非수도권 내 병원에서 소아청소년과 지원자는 8명이었던 셈이다.
대전협은 "젊은 의사들이 소아청소년과 선택을 꺼리는 이유는 저출산으로 인해 미래가 불확실하고 인력 부족 등 전공의 수련 환경이 열악한데다 의료사고에 대한 법적 분쟁 위험이 높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기피로 인한 인력부족은 해마다 또다른 악순환을 야기하고 있다. 올해 특정 병원 소아청소년과에만 다수 지원자가 몰린 것은, 업무 부담을 줄이기 위해 지원자들이 사전에 연락해 삼삼오오 몰린 것"이라며 "과연 정부 노력으로 소청과 지원자가 증가했다고 볼 수 있는가"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정부 정책 효과라기보다는 전공의들이 자체적으로 해결 방안을 찾고 있는 것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며 "수가, 비급여 등 조건이 갖춰져 병원이 전문의를 충분히 채용하고, 전공의 업무 부담을 줄일 수 있다면 소청과 지원자가 늘어날 가능성은 충분히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그동안 지목된 다른 기피과 상황도 여전하다.
대전협에 따르면, 내년도 상반기 레지던트 지원율은 흉부외과 38.1%, 산부인과 67.4%, 응급의학과 79.6%로 전부 정원에 이르지 못했다.
대전협은 "응급의학과, 산부인과, 흉부외과 사정도 소아청소년과와 크게 다르지 않다. 모두 지난해에 비해 지원자 수가 감소했다"며 "응급의학과는 빅5 중 하나인 세브란스병원을 제외하고 전국적으로 미달 현상을 이어가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같은 결과에 대해 ▲상급종합병원 전문의 채용 확대 ▲전문의 채용 확대 위한 수가 가산 및 정부 국고 지원 ▲상급종합병원 평가 시 전문의 수 지표 강화 ▲전공의 특별법 개정안 국회 통과 ▲필수의료사고처리특례법 제정 등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같은 사항은 모두 대전협이 줄곧 주장해왔던 내용이다.
대전협은 "정부가 정책 패키지를 추진하겠다고 얘기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정부가 약속한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 역시 아직까지 답보 상태"라며 "정부는 의대정원 확대 등 졸속 행정을 중단하고 젊은 의사들의 목소리에 귀를 귀울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