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레고켐바이오는 온라인 기업설명회(IR)을 열고, 오리온으로부터 투자유치를 받은 목적과 성장전략을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박세진 레고켐바이오 사장은 레고켐바이오가 글로벌 제약사들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전략적 파트너로 부상했고, 레고켐바이오의 가치와 파이를 높이기 위해 라이센스-인, M&A 및 전략적 파트너십 등과 같은 여러 미래 준비 과정을 밟고 있어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오리온의 투자유치가 필요했다고 밝혔다.
레고켐바이오는 목표 달성을 위해 향후 4~5년 동안 1조 원 가량이 필요하다고 봤다. 이 중 자체적으로 충당이 가능한 금액은 5000~6000억 원 정도로, 추가적으로 4000억 원 이상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박 사장은 "김용주 대표이사와 제가 가진 지분이 10%가 못 됐다. 업계 평균 대비 최대 주주의 지분이 작은 편이었기 때문에, 향후 5~10년, 20년을 계속하기 위해서는 20~30% 사이의 지분을 가진, 레고켐바이오와 궁합이 잘 맞는 안정적이면서 좋은 파트너가 될 수 있는 대주주가 필요했다"고 말했다.
이에 레고켐바이오는 4~5년 동안 안정적인 대주주이면서 전략적 파트너가 될 수 있는 후보자들을 모색해왔고, 여러 제약사, 대기업 등으로부터 논의가 있었으나, 최종적으로 오리온을 택했다고 했다.
앞서 공개된 내용에 따르면, 오리온의 홍콩 자회사 팬오리온(Pan Orion)은 총 5485억 원을 투자, 지분 25.73%를 보유한 레고켐바이오의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식품회사로 바이오 사업역량이 크지 않은 오리온을 파트너사로 선정한 것에 대해 시장에서는 우려를 표하는 말들도 많았다. 이에 대해 박 사장은 레고켐바이오가 전략적 파트너사로 원한 조건에 대해 언급했다.
이들이 파트너사를 선정할 때 중요하게 본 기준은 글로벌 신약연구개발의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에 대한 확실한 이해를 바탕으로 장기적인 헌신을 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기존 조직과 차세대 경영진의 독자적 운영을 존중하는 것이었다.
박 사장은 "다른 기업들과 논의가 잘 안 됐던 이유는 '자율경영 보장' 부분이었다. 레고켐바이오만의 자율적 조직 문화 그리고 전략을 보장받을 수 있는 파트너를 찾는 것이 목표였고, 오리온은 이 부분을 가장 확실하게 약속했다"고 말했다.
오리온은 분기 한 번 정도로 예정돼 있는 이사회를 통해서 경영에 참여할 뿐, 나머지는 모두 레고켐바이오 자율에 맡길 계획이다.
김용주 대표이사는 "오리온이 오히려 기존 경영진을 포함해 차세대 핵심 멤버들까지 흐트러짐 없이 연속성과 일관성을 가지고 운영해 줄 것을 먼저 요청해왔다"고 했다.
또한, 오리온의 투자로 외국 기업과의 M&A 기회가 사라진 것은 아닌지에 대해 묻는 질문에 대해 "외국기업의 M&A는 경영 간섭 정도가 아니라 내부화 하는 것인데 그렇게 되면 우리의 비전은 접어야 한다"고 비전은 결코 양보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어 "신약개발의 꿈을 위해 레고켐바이오를 만든 만큼, 이러한 기회를 만나는 것은 처음이었기 때문에 공격적으로 해야 한다고 판단했다"고 오리온과의 파트너십을 결정한 이유를 부연했다.
박 사장은 "저희는 글로벌 넘버원이 되기 위한 명백한 목표가 있다. 그를 위해 추진하는 것이 '비전(VISION)2030' 조기 달성이다"라며 "1조 원의 자금으로 전략을 차질없이 수행해서 향후 4~5년 안에 10조, 20조 이상이 되는 회사로 성장하는 것이 목표다. 2~3년 내에 기술이전 수익만으로도 흑자 달성이 가능한 최초, 최고의 바이오 회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2030년 이전에는 로열티만으로도 흑자가 가능 회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