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전공의가 복귀할 수 있도록 정부가 명분을 달라는 의료계 요구사항이 제시됐다. 전공의 수련비용 국가 부담제와 행정명령 철회, 여론 악마화 작업 중단 등 3대 요구사항을 통해 자율적 복귀 명분을 주고, 의정갈등 해결 시발점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황규석 서울시의사회장<사진>은 3일 기자회견을 통해 3가지 대정부 요구 사항을 발표했다.

의정갈등 해소를 위한 요구 사항은 ▲전공의 수련비용 국가 부담제 ▲각종 행정명령 즉각 철회 ▲환자-의사 신뢰 회복을 위한 사회적 여론 정화 및 악마화 작업 즉각 중단 등 세 가지다.

황 회장은 이날 3대 요구를 제안한 배경으로 '작은 것 하나부터라도 풀어나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강대강 대치만이 아닌 사태 해결을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는 시각이다.

이는 총파업 전회원 찬반투표를 앞둔 대한의사협회 입장과는 대조적인 행보다.

이에 대해 황 회장은 "전공의나 학생 분들 중에서도 꼭 한 가지 생각만 있는 게 아니라 생각한다. 전체가 해결돼야면 해결이라 생각하지 않는다"며 "그런 부분이 시발점이 돼 하나하나 풀어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총파업은 의협 집행부 차원에서의 정부와 상호관계 작용이라고 본다"며 "회원 대상 찬반투표를 묻게 될 테니 그 결과에 따르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요구사항 수용이 전공의·의대생 복귀에 미칠 영향에 대해선 당사자가 판단할 영역이라고 설명했다. 3대 요구는 선배 의사로서 열악한 근무 환경 개선이나 정부 명령, 여론 등으로 받은 젊은 의사 상처를 회복하기 위해 가장 시급한 부분을 정부에 제안한 차원이라는 설명이다.

다만 수용된다면 전공의나 의대생 가운데 일부라도 복귀할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일부라도 복귀할 수 있는 명분을 제공해 사태 해결 시발점을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이란 기대다.

황 회장은 "이런 사회적 변화가 생긴다면 의대정원에 매몰되지 않고 교실로, 현장으로 돌아갈 의사가 적어도 일부라도 있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