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사진 왼쪽)이 지난해 충청권 마약류 중독재활센터에서 중독자 사회재활을 지원하는 중독재활센터 개소를 축하했다.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마약류 중독자 사회복귀를 돕기 위해 정부 예산 지원이 지속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중독자 사회재활 지원에 힘쓰는 상황에서 사회안전망이 이전보다 강화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최근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 관계자는 마약퇴치 관련 예산 집행 상황을 설명하며, "올해 마퇴본부 예산 증액으로 현장 여건이 많이 나아졌는데, 내년에도 긍정적 흐름이 이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정부가 마퇴본부 올해 예산을 약 159억원으로 늘렸기에, 마약류 중독재활센터(함께한걸음센터) 확대 등 인프라 구축이 가능했다는 얘기다. 마퇴본부는 지난해 서울·부산·대전 등 3곳에서 운영한 중독재활센터를 올해 전국 17개 시·도로 늘리고 있다.

마퇴본부 예산 증감을 비교하면, 마약류 중독자 재활 기반을 확대할 수 있었던 요인이 드러난다. 지난해 마퇴본부 예산은 후원금 및 지방자치단체 지원금을 제외하면 30억원 수준이었으나, 올해 예산은 전년 대비 5배 수준으로 증가했다.

마퇴본부 다른 관계자도 재활 전문가 양성 등 마약퇴치 관련 활동에 투자가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올해 예산으로 인프라 구축 등 작업을 진행했으나, 마퇴본부가 해야 할 일이 많아 예산 지원이 더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과거엔 마약 예방 교육에 중점을 뒀다면, 이젠 중독 재활에 힘쓰는 방향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정부가 예산안 세부 조정에서 마약 문제 해결을 장기적으로 바라봐야 한국이 마주한 마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식약처는 이와 관련해 사회재활 역량 확대로 마약류 수요를 줄이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마약 청정국 지위 회복을 위해 전진하겠다고 밝혔다. 오유경 식약처장은 최근 한 언론과 인터뷰에서 중독재활센터 상담을 통해 맞춤형 재활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채규한 식약처 마약안전기획관도 지난 2월 식약처 출입 전문지 기자단과 만난 자리에서 "지역 마퇴본부와 마약류 중독재활센터가 힘을 합쳐 재활이 필요한 사람들이 치료받을 수 있는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그는 마약류 중독재활센터 전문인력 인증제 도입, 재활 프로그램 개발 등 사회재활을 위한 시설·인력 기반을 다지는 데 집중하겠다며, 중독재활센터에서 마약류 치료·교육·재활 등 연계 프로그램을 이어갈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