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비상대책위원회(연세의대교수비대위)는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입장문을 발표하며 두 가지 가시적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밝혔다.
연세의대교수비대위는 "먼저, 전공의와 의대생에게 뿌린 덫을 가시적으로 제거하라"며 "이 덫을 이용해서 우리 교수에게 전공의와 학생 복귀를 설득하라며 젊은이에게 잘못된 인생관을 몸소 체험학습하도록 압제하지 말라"고 피력했다.
지난 4일 정부가 전공의에게 내려진 각종 명령을 철회하면서 이 철회가 전공의에게 퇴로를 열어주는 것처럼 주장했으나 이는 문제 해결 없이 전공의의 복귀를 끌어내려는 덫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또 "정부에서 먼저 분위기를 조성해 직접 대화에 나서 전공의와 학생을 복귀시켜 의료사태와 의대교육사태를 끝내야 한다"며, "정부가 일방적으로 결정한 정책의 졸속 추진으로 인한 결과는 정부가 책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휴진결정에 앞서 연세의대교수비대위는 지난 9일부터 11일까지 연세의대 및 그 산하 세브란스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및 용인세브란스병원 전체 교수를 대상을 설문을 진행했다.
이에 따르면, 총 735명의 교수 중 무기한 휴진 입장을 실행에 옮기겠다는 응답이 531명(72.2%), 그렇게 하지 않겠다는 응답이 204명(27.8%)로 조사됐다.
또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을 결정할 경우 이 뜻을 받든 연세의대교수비대위의 무기한 휴진 실행방안을 지지하고 동참하겠다는 응답이 448명(61%), 실행방안 사안별로 결정하겠다는 응답이 219명(29.8%), 그렇지 않겠다는 응답이 68%(9.2%)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