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파나뉴스가 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을 통해 코스피 의약품업종 47개 종목(우선주 제외)의 시가총액을 집계한 결과, 2024년 상반기 마지막 거래일인 6월 28일 119조5472억원을 기록, 2023년 마지막 거래일인 12월 28일 117조8992억원 대비 1.4% 증가했다. 금액으로는 1조6480억원이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 시가총액 전체 합계와 증감률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시가총액이 증가한 종목은 단 3개뿐이었다. 44개 종목 시가총액은 평균 11.3% 감소했다.
2위인 셀트리온은 29조5002억 원에서 37조8219억원으로 28.2%, 금액으로는 8조3218억원이 증가해 가장 많은 증가액을 자랑하며 폭발적인 성장세를 나타냈다.
3위인 유한양행 또한 5조2727억원에서 6조4889억원으로 23.1%, 금액으로는 1조2162억원이 증가하며 셀트리온 다음으로 많은 증가액을 나타내며 성장세를 보였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26.9% 감소한 4조411억원, 한미약품은 21.7% 감소한 3조4654억원, 한올바이오파마는 30.1% 감소한 1조6168억원, GC녹십자는 8.9% 감소한 1조3358억원, 종근당은 21.6% 감소한 1조2898억원, 대웅제약은 12.3% 감소한 1조1865억원, 대웅은 23.4% 감소한 8954억원을 기록했다.
전반적으로 어두운 의약품업종 분위기 속 눈에 띄는 증가율을 나타낸 종목은 시가총액 상위권 종목 외에서 나타났다. 2024년 6월 28일 시가총액 1748억원을 기록한 삼일제약이 2023년 12월 28일 시가총액 대비 71.3%, 금액으로는 728억원이 증가하며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셀트리온, 유한양행, 삼일제약을 제외한 다른 종목들은 모두 마이너스 성장률을 나타내면서, 2024년 상반기 의약품업종의 실질적인 분위기는 약세에 머무른 상황임을 방증했다.
그 중 가장 큰 비율로 감소한 종목은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로, 이 종목은 65.3%, 금액으로는 1262억원이 감소해 1931억원에서 669억원으로 시가총액이 크게 줄었다. 그 다음으로는 한올바이오파마의 시가총액 감소율이 30.1%로 가장 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