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크기 설정
기사의 본문 내용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질병청에 따르면, 백일해는 올해 4월 중순부터 발생이 크게 증가, 6월부터는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전국적으로 유행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연령대별로는 13-19세가 59.1%(4,126명), 7-12세가 32.9%(2,296명)으로 7-19세 소아청소년이 전체의 91.9%(6,422명)를 차지하고, 지역별로는 경기(1,594명, 22.8%), 경남(1,455명, 20.8%) 인천(946명, 13.5%), 서울(678명, 9.7%)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금년도 백일해 신고환자 역학조사 결과(2,173명)를 분석한 결과, 환자의 대부분이 기침(99.4%)이 있었고 발작성 기침(21.5%)과 웁소리(whooping, 16.7%)는 일부에서 확인됐다. 환자 평균 연령은 16.1세, 21.6%의 환자가 입원 치료를 받은 것을 확인했다.
올해는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백일해 확산세가 보고되고 있다. 미국은 7.6일 기준으로 7,847명의 환자가 보고돼 전년도 동 기간(2,425명) 대비 약 3.2배 증가했다.
질병관리청은 병원체를 분석한 결과, 백일해균(B.pertussis)이 68%(159건), 홈자이균(B.holmesii)이 24.7%(60건), 기타 보르데텔라속균(B.spp.)이 6.4%(15건) 검출, 백일해균 및 근연종이 동시 유행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에 대해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유행 상황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과 함께, 국내 면역도 분석 등도 추진하면서 유행에 적극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정수 기자
leejs@medipan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