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이 회사가 지난 1분기 말 기준으로 보유한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2136억원이다. 지난해 말 대비 약 2.7% 줄었으나, 2022년 및 지난해 흐름과 비교 시 높은 수준이라는 게 확인된다.
종근당은 분기·반기·사업보고서에서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을 2022년 1분기 말 1053억원, 2분기 말 1150억원, 3분기 말 1064억원, 4분기 말 1174억원으로 기재했다. 해당 수치는 지난 1분기 말 2136억원 대비 절반 수준이다.
지난해 상반기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전년 대비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공시 내용에 따르면, 종근당이 지난해 1·2분기 말에 보유한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1509억원, 1462억원으로 전년 43.3%, 27.1%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3·4분기엔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이 2000억원을 넘어섰다. 이 회사가 분기 및 사업보고서에서 밝힌 지난해 3·4분기 말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2260억원, 219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2.4%, 87.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종근당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이 최근 2년간 2000억원을 넘은 건 지난 1분기가 세 번째다. 해당 분기 현금 및 현금성 자산 2136억원은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 시 41.6% 늘어난 수치다. 2022년 1분기와 비교하면, 2배 이상 증가했다.
그는 해당 리포트를 통해 바이오시밀러뿐만 아니라 바이오의약품, 항체-약물 접합체(ADC) 등 연구 개발에 투자가 확대되고 있는 만큼, 관련 공장 시설 투자 또는 위탁개발생산(CDMO), 인수합병(M&A) 등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편, 종근당 현금 및 현금성 자산 증가 배경엔 기술 수출이 존재한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해 11월 노바티스에 HDAC6 저해제 'CKD-510' 연구, 임상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이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해당 계약 규모는 13억500만달러다. 계약금은 8000만달러이며, 마일스톤은 12억2500만달러다. 종근당은 계약금 반환 의무가 없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마일스톤은 조건 달성 시 수령 가능한 수익으로 허가 실패, 매출액 축소 등 상황 변화에 따라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