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6개 보훈병원 전공의 필요 인력은 총 183 명인데 반해 지난 7월 말 기준 남아 있는 전공의는 19 명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국회 더불어민주당 정무위원회 강훈식 의원은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으로부터 전국 보훈병원 의료인 현황을 받아 분석한 결과, 지난 2월 68.3% 에 달했던 전공의 충원율은 5개월 만에 10.3%까지 떨어졌다고 밝혔다.

의료 개혁을 둘러싼 정부와 의사 간 갈등이 깊어지는 가운데 중앙보훈병원에 근무하던 전공의들이 2 월 29 일 제출했던 사직서는 지난달 23 일 일괄 수리됐다. 중앙보훈병원에는 전공의 정원 110명 중 단 9명만이 남게 됐다.

전공의 집단행동이 일어나기 직전이었던 지난 2월 , 전공의 99 명이 근무하며 87.6%에 달했던 중앙보훈병원 충원율이 현재 8.1%까지 크게 하락한 것이다.

인턴은 한 명도 남아 있지 않은 상태이며, 진료과별로 내과, 영상의학과, 비뇨의학과와 마취통증학과에 각 1명, 가정의학과에 4명만이 남아 있다.

지방보훈병원의 상황은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 의원은 1년 단위로 계약을 하는 지방보훈병원 전공의 계약이 2월 29일 만료된 후 대부분 충원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부산보훈병원의 경우 26명 정원에서 현재 6명만 남았는데 내과에 1명, 가정의학과에 3명이 근무 중이며 나머지 둘은 인턴이다. 광주는 23 명 정원에서 현재 3명만 남았으며, 인턴 두 명을 빼면 내과에서 한 명만이 근무 중이다. 대구는 12명 정원에서 현재 가정의학과 전공의 단 한 명만 남아 있고, 대전은 12 명 정원에 한 명도 남지 않았다. 인천보훈병원은 전공의 수련을 받고 있지 않다.

지난 2월 전공의 수와 비교하면, 부산은 당시 전공의 10명이 근무해 충원율 38.5% 에 달했던 것이 현재 23% 로 낮아졌다. 광주는 전공의가 10명에서 3명으로 줄어 충원율이 43.5%에서 13%로 크게 낮아졌고 , 58.3%에 달하던 대전 전공의 충원율은 0%로 떨어졌다 . 대구는 2월과 현재 충원율이 8.3% 로 같다.

평소에도 비교적 낮은 충원율을 보이던 지방보훈병원의 인력난이 더욱 심각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강훈식 의원 "보훈병원을 이용하는 환자 대부분이 고령의 국가유공자"라며 "심각한 의료난에 애타는 보훈 가족들을 위한 정부의 실질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