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은 13일 여야의정 협의체 참여에 대한 의료계 공동 입장문을 발표, 협의체 불참 의사를 밝혔다.
의협은 여야 정치권에는 감사를 표하며 정부 태도 변화를 촉구했다. 여야의정 협의체를 위해선 정부 태도 변화가 있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여야는 협의체 의제에 제한을 두지 말자거나 2025년 의대정원을 포함해야 한다고 밝혔으나, 정부는 2025년 의대정원은 건드릴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최안나 의협 대변인은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의사는 정부의 적이 아니고 국민 건강·생명을 지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오셨고 존중받아 마땅하다'고 한 것에 대해 감사드린다. 또 민주당이 2025년도 의대정원 증원 문제를 의제로 제한 없이 포함하자고 한 것에 대해 감사드린다"면서 "그러나 정부가 잘못된 정책을 인정하지 않으면 이 사태는 해결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부 태도변화가 없는 현 시점에 여야의정 협의체 참여는 시기상조라 생각한다"며 "정치권 여야는 물론 국민들께서 이미 전향적인 모습을 보여주셨다. 이제 남은 건 정부 태도 변화 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국민 걱정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는 불통을 멈추고 전향적 변화를 보여야 한다. 부디 국민들께서 무리한 정책을 멈추고 의사들과 대화하라고 외쳐 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다만 의견을 모으는 과정에선 지역의사회와 내홍이 불거지기도 했다.
이날 의협 공동입장문엔 ▲전국의과대학교수비상대책위원회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 ▲대한의학회 ▲대한개원의협의회 ▲전국광역시도의사회장단협의회 ▲의협 대의원회 ▲의협 등 8개 단체가 이름을 올렸다. 그러나 의협은 잠시 후 참여 명단을 ▲전국광역시도의사회장협의회(경기도의사회 제외)로 정정한다고 밝혔다.
이후 경기도의사회는 임현택 의협 회장 자진 사퇴를 권고하는 입장문을 발표했다. 투쟁 당사자이자 여야의정 협의체 핵심 이유인 전공의·의대생을 배제한 입장 발표를 일방적으로 강행했다는 이유다.
앞서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과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 비상대책위원장 3인은 "그 어떤 테이블에서도 같이 앉을 생각이 없다"며 "임현택 회장과 집행부는 전공의와 의대생을 삼가시길 바라며, 임현택 회장의 조속한 사퇴를 촉구한다"고 밝힌 바 있다.
경기도의사회는 "이런 상황에서 임현택 회장이 이들을 배제한 의료계 입장 발표를 월권 주도해 전공의, 의대생 입장과 무관하게 공동 입장문을 월권 발표한 것은 후배 전공의, 의대생 희생을 무시하고 배신하는 처사"라며 "임현택 집행부는 후배 전공의, 의대생을 패싱하려는 각종 꼼수 시도를 중단하고 투쟁 핵심인 전공의, 의대생 뜻대로 자진 사퇴할 것을 권고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