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왼쪽부터)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의원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의약품 수급 불안정에 대해 "대체조제를 활성화하겠다"며 "근본적인 대책을 만들기 위해 거버넌스 법제화, 모니터링, 약가 인상 등 여러 방안을 강구하고 있기에 조만간 확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23일 조 장관은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종합감사에서 "대체조제 활성화뿐만 아니라 성분명 처방에 대한 대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된다"며 복지부 장관 생각을 묻는 말에 이같이 답했다.

이날 서 의원은 "최근 6개월간 전문의약품이나 일반의약품 품절 경험이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개국 약사) 100%가 있다고 대답했다"면서 "약품군별로는 호흡기계 25%, 소염 해열진통제 22%, 항생제 16%, 소화제 11% 등에서 수급 불안정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어 "원인은 23%가 제약회사의 생산 및 공급 미비가 지적됐고, 공급 및 유통체계 미비 18%, 수요 예측 및 약과 등 대응책 미비 17%, 수급 불안정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병원의 과도한 처방 17% 등이다"라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국회 및 정부 대응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 불만족 수치가 높게 나왔다며, "이것에 대한 대책을 묻는 말에 63%가 성분명 처방, 대체조제 사후 통보 간소화 방안이 21%, INN 국제 일반명 표기가 10% 수준이었다"고 말했다.

아울러 "특히 제가 우려하는 것은 소아의약품이나 또 필수의약품 다빈도 의약품에서 수급 불안정이 생기면, 결국 국민의 생명과 건강에 직결된다고 보기에, 이 문제를 소홀히 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