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대한응급의학의사회는 성명을 내고 윤석열 대통령 퇴진과 졸속 의대 증원 및 의료개악 철회를 촉구했다.
응급의학의사회는 의료계가 지난 2월부터 계엄과 마찬가지 상태에 처해 있었다는 점을 언급했다. 근거는 없지만 양보는 불가한 2000명 의대 증원을 지키기 위해 법정최고형을 운운하며 의료계를 협박했고 반헌법적 명령을 남발했다는 지적이다.
응급의학의사회는 의사에 대한 탄압 이후 다음 차례는 국민이 될 것이라 우려하며 윤석열 대통령은 국민에게 가장 큰 위협이라고 지적했다.
응급의학의사회는 "대통령은 생각과 의견이 다른 사람을 반동세력으로 규정하고 싸워 처단할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다"며 "윤석열 대통령이란 위험을 최대한 빨리 제거하는 것이 의료농단 사태를 종식하고 국민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의료계에서 윤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는 목소리는 비상계엄 사태 이후 지속되고 있다.
지난 4일 서울특별시의사회, 전라남도의사회, 경상북도의사회, 충청남도의사회, 대한안과의사회 등은 성명을 내고 위헌·위법한 계엄을 선포한 윤석열 대통령을 비판하며 하야를 촉구했다.
국회에서도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위한 움직임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도 6일 긴급최고위원회의를 통해 탄핵 찬성을 시사했다. 윤 대통령이 대통령직을 계속 수행할 경우 비상계엄과 같은 극단적 행동이 재연될 우려가 크다는 이유다.
한 대표는 이날 긴급최고위원회의에서 계엄령 선포 당일 윤 대통령이 주요 정치인을 반국가세력이란 이유로 고교 후배인 여인형 방첩사령관에게 체포하도록 지시하던 사실, 체포를 위해 정보기관을 동원한 사실을 신뢰할 만한 근거를 통해 확인했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체포한 정치인들은 과천 수감장소에 수감하려 했다는 계획도 파악됐다고 설명했다.
한 대표는 지난 5일 국민과 지지자 피해를 막기 위해 탄핵이 통과되지 않게 노력하겠다고 밝혔으나, 이 같은 사실을 감안할 때 윤 대통령 조속한 직무집행 정지가 필요하다는 입장으로 선회했다. 윤 대통령은 계엄 사태에 관여한 인사조치조차 하지 않고 있고, 비상계엄이 잘못이라고 인정하지도 않고 있다는 설명이다.
한 대표는 "윤 대통령이 대한민국 대통령직을 계속 수행할 경우 비상계엄과 같은 극단적 행동이 재연될 우려가 크고, 대한민국 국민을 위험에 빠뜨릴 우려가 크다"며 "지금은 오직 대한민국과 국민만을 생각해야 할 때"라고 언급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