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휴학의 시발점이 됐던 정원 규모를 의료계와 합의해 공감할만한 수치로 발표할 경우, 교육을 재개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일부 휴학생들도 복귀 의사를 내비치고 있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서울대의대 학생회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휴학을 이어갈 것인지 묻는 설문조사(2월 10일부터 13일까지)를 진행한 결과, 76.8%(535명)가 휴학을 이어간다는 의향을 밝혔으며, 23.1(161명)는 복귀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지난해 단체 행동 참여 여부를 묻는 설문에서 반대가 17%였던 점을 감안해보면, 단체행동을 그만하고 복귀하자는 의견이 6% 늘어난 셈이다.
이를 두고 의대교수들은 설문조사에서 복귀하겠다는 의사를 가지고 있는 것과 실제로 이를 실행하는 것에는 차이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과반수가 복귀를 하지 않겠다고 밝혔고 실제로 그렇다면 대세를 따라 갈 것이라는 설명이다.
다만, 지난해도 필요에 의해 교육과정을 진행했던 학생들이 있었던 만큼 의대생들 중에서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면 소수의 학생들은 복귀를 통해 학업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면서 대다수 의대생들의 복귀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물꼬를 틀 수 있는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2026년도 의대정원 규모가 어떻게 될 것인지가 분수령이 될 것이라는 시각이다.
이날 A의대 교수는 메디파나뉴스와의 통화에서 "대다수 휴학생들은 복귀 가능성이 없어 보인다. 하지만 정부에서 의료계 요구를 긍정적으로 검토한다는 식이 아니라 확고하게 2026년도 의대정원을 어떻게 할 것인지 계획을 발표한다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026년도 의대정원 증원을 철회한다든지, 대한의사협회 의견을 전적으로 따르겠다든지 등 확실하게 제시해야 반응을 보일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정부에서도 쉽게 결정하진 못할 것이다. 정원 발표에 대한 부담감이 클 텐데, 어쨌든 3월 입학 이후에도 복학 움직임이 없다면 조바심이 날 것이고, 법적으로 정해진 기한이 있는 만큼 정원규모를 발표할 것이다. 아마도 학생들은 그에 따라 움직임을 나타낼 것"이라고 점쳤다.
또다른 의대 교수도 2026년도 의대 정원 규모가 휴학생 복귀의 갈림길이 될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특히 대통령 부재 상황과 대한의사협회의 새로운 리더 체제 속에서 논의가 진행돼 의대정원 규모가 발표될 경우, 의대생을 비롯해 전공의 복귀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B의대 교수는 "학생들 입장에서는 현 상황에서 복학을 해서 수업을 들어야 하는 이유가 명확하지 않다. 복귀 명분이 없다. 학생들이 그동안 요구해 왔던 것에 대해 아무것도 정부가 답을 해준 것이 없다"고 언급했다.
이어 "하지만 현재는 대통령이 부재한 상황이고, 대한의사협회도 새로운 수장과 집행부를 구성한 상황으로 논의가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언제까지 의학교육을 비롯해 의료시스템을 이 상태로 둘 수는 없는 노릇이 아닌가. 이에 휴학생들이 2026년도 정원을 몇 명으로 할 것인지 발표를 듣고 올해도 계속 휴학을 이어갈 것인지를 정하지 않을까 생각된다"며 이러한 정부 발표가 전공의 복귀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