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의료계에 따르면 최근 정부·국회가 사태 해결을 위해 보이는 기조로는 전공의 복귀를 논하기엔 역부족이란 지적이 나온다.
이날 지역의사회 한 관계자는 메디파나뉴스와 통화에서 정부와 국회가 말하는 3월 전 사태 해결이 가능할지는 미지수로 봤다. 정부도 국회도 의대정원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그는 "정부나 국회가 2025년 정원은 안 된다며 2026년 정원으로 얘기하자는데, 젊은 의사 요구는 의대정원만 있는 게 아니다. 의료개혁 정책 전반을 원상복구하거나, 적어도 신뢰할 만한 액션이라도 보여줘야 하지 않겠나"라며 "일단 돌아오라는 건 앞뒤가 맞지 않다. 이대로는 챗바퀴 도는 상황이 반복될 것"이라고 말했다.
의대정원만이 문제가 아니란 지적은 당사자에게서도 나온다.
한 수도권 사직 전공의는 전공의 복귀는 여러 문제가 얽혀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7대 요구안 가운데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을 지목했다.
이 사직 전공의에 따르면 전공의 연차부터 병원까지 복귀와 관련된 분위기와 변수는 다양하다. 소속 병원만 해도 바이탈과 저연차 사직 전공의는 절반 가까이 전공을 포기하겠다 밝혔지만, 고연차는 수련을 마치고 싶어 하는 분위기였다고 설명했다. 또 병원별로도 교수를 대하는 방식이나 선후배 관계 등 많은 차이가 있다고 부연했다.
이처럼 사직 전공의마다 상황과 분위기가 다르지만, 이들 모두를 아우르고 체감할 수 있게 하는 요인은 수련환경이란 설명이다.
그는 "전공의 복귀는 여러 문제가 얽혀 있다. 수련환경 자체가 개선되지 않는다면 바이탈과나 미래의료에서 중요한 과 전공의들은 전공을 하겠단 레거시가 사라질 것"이라며 "의대정원 문제도 중요하지만 수련환경 개선이 없다면 병원으로 돌아갈 명분이 없다"고 말했다.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점에서 새로 출범하는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장 집행부가 청사진을 그려줄 것을 기대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전공의 복귀와 의대생 수업이 시작되는 3월 전에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선 적어도 이달 중엔 젊은 의사 의견을 반영한 의협 차원의 계획과 입장이 나와야 한다는 이유다.
한 시도의사회장은 "모든 전공의가 복귀를 바라지 않는 것은 아니란 점에서 2월에 대화를 시작하면 이미 늦는다"면서 "새 집행부는 전공의와 소통이 가능한 만큼, '탕핑(편하게 눕는다, 당평을 뜻하는 중국 신조어)'을 고수하더라도 최소한 타임라인에 따른 장기적 계획은 만들고 소통은 원활히 했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