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준비는 부족한 상태이며, 등록을 마친 신입생들 역시 당연히 받아야 할 교육의 질적 수준이 떨어진다면, 휴학을 선택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19일 의료계와 국회에 따르면, 전날 국회 교육위 전체회의에서 이주호 교육부 장관은 정부와 대학이 의대생 복귀를 대비해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의대 24·25학번을 동시에 교육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도 했다. 아울러, 25학번의 경우 정원증원 후 입학한 학번이기 때문에 증원 반대를 명분으로 삼아 수업을 거부할 수 없다고도 언급했다.
반면, 일선 교수들은 이와 다른 시각을 내놨다. 현장의 교육 준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파행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특히 24학번의 휴학 지속 여부, 25학번의 휴학동참 여부 등을 학사운영의 변수로 진단했다.
A의과대학 교수는 이날 메디파나뉴스와의 통화에서 "개학까지 얼마 남지 않은 시점에 서 있지만, 24·25학번을 동시에 어떻게 교육할지에 대해서는 준비가 제대로 안 된 상태다. 특히 새학기 수업참여 규모가 정확하지 않고 교육부의 증원 방향성 등이 현장의 혼란을 부추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일부 신입생들에게 연락을 해보기도 했는데 그들도 수업을 들을지, 말지 망설이고 있더라. 또 개인적으로 파악하기로는 24학번은 거의 새학기 등록을 안 한 상황이다. 그래서 개강날이 돼야 실제로 학생들이 얼마나 수업을 참여하는지 봐야 규모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25학번 역시 대규모 증원의 피해자인 만큼 교육 파행으로 인한 불이익을 감수하면서 수업을 이어갈지는 미지수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주호 장관이 25학번은 정원증원 후 입학한 학번이기 때문에 증원 반대를 명분으로 삼을 수 없다는 언급과 대치되는 관점이다.
B의대 교수는 "25학번도 대규모 증원으로 악화된 교육환경에 대한 직접적 당사자다. 지속적인 증원방침에 대해 가장 적극적으로 반발할 수 있는 피해자일 수 있다"며 "당연히 받아야할 교육의 질적 수준이 떨어진다면 이것이 수업거부 명분이 되지 않겠나"라고 반문했다.
증원폭이 큰 지방 의과대학들은 24·25학번이 동시 수업에 참여할 상황에 대한 우려가 서울 및 수도권에 비해 더 큰 것으로 감지된다.
C의과대학 교수는 "지방에 있는 의과대학들의 경우, 24·25학번이 동시에 수업을 받게 된다면 현실적으로 교육의 어려움이 서울이나 수도권 의대에 비해 더 클 것으로 생각된다. 교수들도 많이 이탈한 상태라서 다시 확보하기도 어렵고, 남아있는 교수들도 병원근무를 하면서 가르쳐야 하는 상황이다 보니 심리적·육체적 압박이 크다"고 우려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