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최성훈 기자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개원가 최대 비만 치료 학술대회에 1500여명의 많은 비만 임상의들이 몰려 성황을 이뤘다.

지난해 '위고비(세마글루타이드)' 국내 도입을 계기로 비만 치료에 대한 관심이 집중된 모습이다.

대한비만연구의사회는 16일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제36회 춘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춘계학술대회는 ▲비만개론 ▲비만체형 ▲탈모피부쁘띠를 주제로 3개의 강의장과 비만 전문 인증의 교육이 함께 진행됐다.

특히 비만개론 강의장에서는 GLP-1 치료제 사용 후 근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약물에 대한 강의와 비만치료제 다중 제형에 대한 이해를 시작으로 비만 환자 영양치료 강의가 이어졌다.

또 새로운 비만약물에 대한 심도 깊은 강의로, 위고비 기전과 적용, 실전 임상 QnA 강의가 진행됐다.

특히 하반기 출시예정인 '마운자로(터제파타이드)'와 향후 등장할 비만치료제에 대한 강의도 진행돼, 회원들의 관심이 집중됐다.

비만치료 및 체형 강의장에선 한국인의 생애주기별 비만치료를 시작으로 비만 약물치료의 시작부터 인지행동치료, 비만치료 경구제 처방 노하우 강의가 진행됐다.

아울러 비만클리닉에서 약물치료와 병행할 수 있는 장비를 통한 바디컨투어링 최신 트렌드와 주사&미니지방흡입을 통한 체형시술 강의도 진행됐다.

비만클리닉에서 도입할 수 있는 탈모·피부·쁘띠 영역의 강의도 진행됐다. 약물·보툴리눔 톡신·지방SVE를 활용한 탈모치료를 시작으로 최신 리프팅·스킨부스터를 활용한 피부재생 솔루션·보톡스 필러 실을 이용한 동안 시술 등도 소개됐다.

또 이번 춘계학술대회에는 작년까지 총 200여명의 비만 전문 인증의를 배출한 '비만 전문 인증의' 교육이 동시에 진행됐다.

대한비만연구의사회 김민정 이사장(용인 미하나의원)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20년 동안 비만 치료를 해온 의사로서 최근 흐름은 대단히 고무적"이라며 "비만 치료에서 개원가 비중은 70~80%를 차지하는 만큼, (개원가가) 비만 치료를 잘하도록 교육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전문가 과정이 자리 잡아 가고 있는 만큼, 학술활동과 연구, 사회공헌활동에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왼쪽부터) 대한비만연구의사회 김민정 이사장, 대한비만연구의사회 이철진 회장. 사진=최성훈 기자
대한비만연구의사회 이철진 회장(좋은가정의원)은 GLP-1 치료에 대한 새로운 기준이 제시돼야 한다고 했다.

현재 BMI 30 기준으로만 (위고비를) 처방할 수 있는데, 동양인 한계상 췌장 크기가 작아 동일선상에서 비교는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철진 회장은 "서양은 BMI 25가 과체중이지만 우리나라 성인에선 대사이상이 나타나는 수치"라며 "전 세계적인 추세도 (비만 여부를) BMI로만 평가하는 건 문제가 있다고 보고 있다. 유럽이 동반질환이나 심리적 상태까지 모두 고려해서 새로운 비만 기준을 만들고 있는 만큼, 우리도 관련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춘계학술대회 부스전시장에는 한국릴리가 마운자로를 앞세워 참여했다. 마운자로는 인슐린 분비 자극 펩타이드(GIP) 수용체와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수용체에 결합하는 이중작용 기전으로, 체중 감량에서 위고비보다 우수한 효과를 보인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이날 부스에 나온 한국릴리 관계자들은 임상의들을 대상으로 혈당 감소 및 체중 감량에 있어 마운자로의 우수성을 홍보했다.

사진=최성훈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