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상호 관세 부과 계획을 예고한 가운데, 글로벌 제약업계가 의약품에 대한 '단계적 관세(phased tariff)' 적용을 요구하며 본격적인 로비에 나섰다.

2일 한국바이오협회는 지난 1일 로이터통신 보도를 인용, 글로벌 제약사들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수입 의약품에 대해 갑작스러운 고율 관세가 아닌 단계적 인상을 적용해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는 관세로 인한 비용 부담을 완화하고, 미국 내 생산기지 구축을 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전 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한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며, 이 자리에서 의약품을 포함한 품목별·산업별 관세 적용 여부도 언급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업계에 따르면, 미국을 비롯해 유럽과 아시아 전역에 제조시설을 보유한 글로벌 제약사들이 미국 내 생산 확대를 위해 공장 이전 및 설비 증설에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제약협회(PhRMA)는 "미국에서 새로운 제조시설을 짓기 위해선 까다로운 규제를 충족해야 하며, 최소 5~10년, 약 20억 달러(약 2조7000억원)의 투자가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미국제약협회는 지난 2~3월, 트럼프 행정부에 관세율을 수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인상하는 방안을 공식적으로 제안한 바 있다.

현재까지 정확한 관세율은 확정되지 않았으나, 업계는 초기 관세율이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25%보다는 낮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내비치고 있다. 실제로 행정부 내에서도 해외 제조시설을 미국으로 빠르게 이전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점을 점차 인지하고 있는 분위기다. 이에 업계 일각에서는 관세를 점진적으로 25%로 인상하는 것을 고려할지도 모른다는 낙관론이 나오고 있다.

업계는 관세가 과도하게 부과될 경우 의약품 공급 차질 및 가격 상승, 환자의 접근성 저하 등 부작용이 우려된다고 경고하고 있다. 반면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의약품을 외국에 의존하지 않도록 국내 제조 기반을 강화해야 한다”며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한편, 새로운 관세가 실제 적용되기까지는 미국 연방법상 공청회 및 의견수렴 절차가 필요해, 업계는 시행 시점이 늦춰질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현재 제약기업들이 기존 미국 공장에 신규 생산라인을 구축하는 데에도 최소 2년 이상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일라이 릴리, 존슨앤존슨 등 일부 대형 제약사들은 이미 수십억달러 규모의 미국 내 생산설비 투자 계획을 발표한 상황이다.

이와 함께 몇몇 제약사들은 관세 부과 전 수출 물량을 늘리기 위해 항공 운송을 통한 물량 선적을 서두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