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측부터 의협 김택우 회장, 민복기 공동본부장, 정경호 공동본부장. 사진=박으뜸 기자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정부가 의대 정원 확대에 반발한 의대생들의 유급과 제적을 공식 확정하면서, 대한의사협회가 본격적인 대응을 예고했다.

교육부는 지난 9일, 전국 40개 의과대학이 제출한 명단을 바탕으로 유급 예정자 8305명(42.6%), 제적 예정자 46명(0.2%)을 확정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정상 수업이 가능한 재학생은 전체의 34.4% 수준인 6708명에 그쳤다. 교육부는 복귀 학생 보호와 결손 인원 충원, 의학교육위원회 구성을 주요 후속 조치로 제시했지만, 의료계의 반발은 한층 거세지고 있다.

10일 열린 '의협 대선 정책제안 보고회'에서 김택우 의협 회장은 정부의 조치를 "무리한 압박"이라고 규정하며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김 회장은 "교육 현장의 최일선을 맡고 있는 의대생과 전공의에게 정부는 절차도 무시한 채 압박을 가하고 있다. 단 한 명의 제적 사태라도 발생한다면, 의협은 전 회원의 총의를 모아 결코 좌시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의협 대선기획본부 민복기 공동본부장도 학생 제적 문제 해결을 최우선 현안으로 강조했다.

민 대선기획본부장은 "지금 가장 급한 건 의대생 제적 사태 해결이다. 현재 의협 대선기획단은 학생과 전공의가 요구하는 사항을 하나부터 열까지 정리하고 있으며, 가급적 다음 주라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경호 공동본부장 역시 제적 사태에 대해 '참담한 현실'이라며 안타까움을 표했다.

정 대선기획본부장은 "여야 대표들이 의료 정상화를 약속했고 정부도 의대 정원을 동결했기에 희망을 걸었지만, 어제 의대생 제적이라는 현실을 맞았다. 이제 의협 집행부와 전 회원이 심기일전해 다시 분발해야 할 시점이다"고 말했다.

의협은 조만간 공식 입장을 밝힐 예정이며, 학생 제적 사태 해결을 위한 대응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