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교수협은 13일 발표한 성명을 통해 "국가 의료시스템 붕괴를 중지시키고 재생시킬 수 있는 인물이 교육부·복지부 장관에 임명돼야 한다"며 "의대정원 강행으로 무너진 의료교육의 기반을 회복하는 일이 지금 가장 시급한 국정과제"라고 밝혔다.
성명에 따르면 교수협은 장관 후보자의 자격 조건으로 ▲의학교육과 의료 현장의 위기를 정확히 인지하고 개선할 수 있는 인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단순히 의사 수를 늘리는 접근이 아니라 양질의 교육이 가능한 여건인지부터 점검해야 하며, 인공지능과 진료 시스템 변화에 따라 정원 감축까지도 유연하게 검토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특히 "2024~2026학번이 동시에 수업을 듣고, 전공의 수련까지 병행해야 하는 전례 없는 상황은 의학교육 체계의 붕괴를 의미한다"며 "이런 사태를 현실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장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의대교수협은 ▲정치적 목적이 아닌 환자와 피교육자(학생) 중심의 정책을 펼칠 수 있는 인물이 장관이 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의료와 교육이 정쟁의 도구가 돼선 안 되며, 실제로 혜택을 받는 당사자인 국민과 학생을 중심에 두는 철학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아울러 ▲실용주의와 거리가 먼 공공의대 신설보다는, 실질적인 공공의료 개선책을 추진할 수 있는 인물이 적합하다고 조언했다.
의대교수협은 "공공의대는 필수의료 및 지역의료 개선을 위한 근본 대안이 아니다"라며 "국민들로부터 외면받고 있는 기존 공공의료기관의 운영 실태를 정확히 진단하고, 개선할 수 있는 시각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의대교수협은 ▲전문가와 소통하고 대화할 수 있는 리더십을 갖춘 인물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장과 소통하며 정책의 실현 가능성을 냉정히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의대교수협은 "의료·교육 분야는 단순한 행정이 아니라 미래를 설계하고 지속가능성을 담보해야 하는 영역"이라며 "국민과 전문가 모두의 신뢰를 얻을 수 있는 인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