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은 차기 보건복지부를 이끌어갈 인물로 이스란 제1차관과 이형훈 제2차관을 차례대로 임명하고, 장관 후보자로는 정은경 전 질병관리청장을 지명했다.
대통령실은 의료 대란 사태 해결과 관련해 이들에 대한 기대감을 여실히 드러냈다.
정은경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의사 출신', '정책수용능력과 소통능력 갖춘 보건전문가', '의료 대란 등의 위기 회피하지 않고 해법을 제시할 수 있는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국민추천제를 통해 다수 추천이 접수됐다고도 했다.
또 이형훈 신임 제2차관에 대해서는 '갈등중재능력과 솔선수범 리더십 갖춘 인물', '치밀한 기획력과 높은 문제해결 능력', '의료 대란 해결과 보건 정상화 이끌 적임자'라고 강조했다.
이같은 평가에서 핵심 요소로 삼을만한 것은 의료 대란 해소다. 소통과 갈등중재 능력이 부각된 것은 현재 진행형인 의정 갈등과 그로 인한 의료 대란을 하루 빨리 종식시켜야 한다는 필요성에서 비롯됐을 여지가 높다.
이에 화답하듯 정은경 장관 후보자도 소감문에서 '의료 대란'을 언급했다. 정은경 후보자는 "장관으로 임명되면 진정성 있는 소통과 협력으로 의정갈등을 신속하게 해결하고, 지역·필수·공공의료를 강화해 의료접근성을 높이는 등 국민 목소리가 적극 반영된 의료개혁을 추진해 국민 건강권을 보장하겠다"고 밝혔다.
또 대통령실은 이스란 신임 제1차관에 대해서도 '연금 외 의료정책팀, 건강정책국 등에서 전문성을 발휘해 온 인재' '위기 속에서 서로를 지키는 든든한 사회안전망 구현 적임자' 등으로 평가했다.
그간 밟아온 이력에서도 의료 대란 국면 전환을 기대할 수 있는 요소가 확인된다.
특히 의료 대란 해결을 1선에서 책임지게 될 이형훈 2차관은 보건의료정책과장, 보건산업정책국장, 보건의료정책관 등을 맡아 보건의료분야 재직 기간이 비교적 길다는 평을 받고 있다. 이기일 전 1차관과 마찬가지로 복지부 대변인을 맡은 이력도 의료계와 소통하는 데 밑거름이 될 수 있다.
정은경 장관 후보자 역시 코로나19 사태 당시 책임감 있는 대응을 보여주면서 사회 전반에 깊은 인상을 남긴 바 있다. 때문에 의료 대란 사태를 반드시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의료계와 접점을 늘릴 것이라는 기대도 충분하다. 의사 출신 인사라는 점도 기대감에 한 몫 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