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의사회가 의대생 복귀 결정을 "대한민국 의료 정상화를 향한 진정한 전환점"으로 평가하며, 복귀 이후의 실질적 회복과 제도 개혁이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서울시의사회는 의대생들의 복귀가 단순한 학사 일정 재개로 끝나선 안 되며, 의정 간 무너진 신뢰를 복원하고 의료체계를 재건할 수 있는 실질적 출발점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규석 회장은 "수련 복귀의 조건과 방향을 논의할 정부-의료계 간 실질적 협의체 구성이 반드시 병행돼야 하며, 대한의사협회는 의료계 종주 단체로서 사직 전공의들의 희생에 가까운 투쟁이 헛되지 않도록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시의사회는 성명서를 통해 복귀 결정의 의미를 살리기 위한 4가지 실천과제를 제안했다.

먼저 서울시의사회는 복귀한 의대생들이 불이익 없이 학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학사일정 조정, 행정 보호, 심리 안정망 구축 등 실질적인 지원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또한 현재 수련 중인 전공의들에게 모든 부담이 전가되는 현실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하며, 수련 중인 전공의들에게 모든 책임이 전가되지 않도록 안전장치 마련과 정부-의료계-전공의 간 특별협의체 구성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태의 재발 방지를 위해 의료정책 결정 구조를 투명하게 바꾸고 전문가 중심의 협치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제기한 개혁 요구는 단순한 복귀를 넘어서 의료계 전반의 구조적 개혁을 요구하는 절박한 목소리라며, 이를 적극 수용하겠다는 입장이다.

서울시의사회는 이번 사태가 단지 교육과 수련의 일시적 중단이 아니라, 의료의 구조적 모순에 대한 젊은 세대의 문제제기였다고 진단했다. 전공의 수련환경, 필수의료 강화, 지역의료 격차 해소, 정책 결정 방식 등 복합적인 개혁 과제를 함께 짚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강제지정제와 같은 의료제도의 근본적 문제 역시 이번 기회를 통해 개혁으로 이어져야 하며, 서울시의사회는 내부 혁신과 외부 협의에 모두 책임 있게 임하겠다고 약속했다.

서울시의사회는 "교육의 회복이 곧 국민 건강의 회복이며, 젊은 의료인의 미래가 대한민국 의료의 미래"라며 "복귀 이후 의료계 내부의 반목을 극복하고, 다시 하나 되는 전환점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