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증권업계 전망을 종합하면, GC녹십자 내년 매출액은 연결 재무제표 기준으로 2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키움증권은 같은 날 기업분석 보고서에서 이 회사 내년 매출액을 2조141억원으로 예상했다.
증권사 한 곳만 GC녹십자 내년 매출액이 2조원을 넘을 것이라고 추정한 건 아니다. 최근 DS투자증권은 기업분석 보고서에서 자사 리서치센터 자료를 근거로 이 회사 내년 매출액을 2조622억원으로 내다봤다.
증권업계 분석대로 매출액이 증가하는 경우, GC녹십자는 매출액 회복을 넘어 증가 흐름을 이어간다. 이 회사 매출액(연결)은 2022년 1조7113억원에서 2023년 1조6266억원으로 감소했으나 지난해 증가한 바 있으며, 올해 매출액이 2022년 수준을 넘는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특히 내년 매출액 확대 전망이 나온 이유는 품목별로 고른 성장이 나타날 것으로 보여서다. 혈액제제 매출액은 7000억원에 육박하거나 해당 금액을 넘어설 전망이다. DS투자증권은 혈액제제 내년 매출액을 7064억원으로 예측했다.
혈액제제 내년 예상 매출액 7064억원은 국내와 해외 혈액제제 실적이 모두 증가할 수 있다는 전망에서 나온 수치다. DS투자증권은 내년 혈액제제 국내, 해외 실적이 각각 3491억원, 3573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GC녹십자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미국에 수출한 알리글로는 혈액제제 해외 실적 증가를 이끌 품목이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내년 알리글로 해외 매출액은 2300억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전문의약품과 백신도 GC녹십자 내년 매출액 증가에 영향을 미칠 품목이다. 미래에셋증권은 자사 리서치센터 자료를 근거로 전문의약품과 백신 내년 매출액이 각각 4992억원, 2922억원으로 증가한다고 내다봤다.
자회사는 GC녹십자 연결 매출액 증가를 뒷받침할 것으로 보인다. DS투자증권과 미래에셋증권은 지씨셀 등 자회사 내년 매출액이 4000억원을 웃돌 것으로 추정하며, 전년 대비 늘어난다고 예측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