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전국의과대학교수비상대책위원회가 18일 성명서를 통해 "젊은 의사들의 외침에 응답하고, 중증·핵심의료 회복을 위한 지속 가능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의비는 전공의 3대 요구안을 의료 정상화의 중요한 출발점으로 규정하며 "환자 진료와 수련 교육의 단절은 국민 건강권과 직결된다. 더 이상 지체할 수 없는 위기 상황에서 정부와 국회가 젊은 의사들의 목소리에 응답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전의비는 정부 대책이 여전히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군의관·공중보건의로 병역의무를 이행한 전공의들의 수련 정원 보장 문제가 여전히 풀리지 않았으며, 의료정책 논의를 위한 협의체도 실질적인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의비는 "이는 개인의 진로 문제가 아니라 중증·핵심의료 존립과 직결된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전의비는 전공의 복귀 시 교수들이 교육자로서 책임을 다하겠다는 다짐도 전했다. "수련의 연속성과 질을 보장하고, 전공의들이 안정된 환경에서 배우고 성장할 수 있도록 든든한 조력자가 되겠다"는 입장이다.

정부와 국회에는 전공의 3대 요구안을 조속히 수용할 것을 촉구했다. 특히 국민적 공론화가 필요한 사안과 전문가 판단이 존중돼야 하는 사안을 구분하고, 의정협의체와 공론화위원회를 병렬적으로 운영해 전공의들의 목소리가 반영돼야 한다고 언급했다.

또한 병역의무를 이행한 젊은 의사들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하며, 환자 생명과 직결된 분야에서 의사들이 소신껏 진료할 수 있도록 법적 안전망을 강화하고 전공의 처우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의비는 전공의들에게 직접 호소했다. "지금은 대한민국 의료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시점"이라며 "더 이상 망설이지 말고 하루라도 빨리 수련 현장으로 돌아와 달라. 여러분의 복귀는 환자를 살리고 중증·핵심의료를 이어가는 희망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당부했다.

전의비는 "교수들은 전공의 곁에서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 안전하게 배우고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