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수진 대한약사회 총무 겸 홍보이사는 8일 서울 서초구 대한약사회관 기자실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정례브리핑을 통해 오는 30일 '국민의 조제약 선택권 확대를 위한 성분명 처방 한국형 모델 도입 정책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노 홍보이사는 이번 정책토론회 준비와 관련해 "성분명 처방 제도화는 권영희 회장이 과거 서울시약사회장에 당선되면서부터 지금까지 줄기차게 주장하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이후 수급불안정 의약품 품절로 인해 대체조제도 비율이 올라가는 상황이고, 건강보험공단 노조 등에서 적극적으로 성분명 처방에 동의하는 성명서와 입장문들을 내고 있다"며 "이는 성분명 처방이 약제비 절감에 가장 부합하는 제도라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성분명 처방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대한약사회 권영희 집행부는 정책적 목표를 '성분명 처방'으로 삼은 만큼, 성분명 처방 제도화를 위한 TF를 구성해 매주 1회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이에 대해 노 홍보이사는 "TF는 해외 사례들을 검토하며 성분명 처방이 우리나라의 현 시점에 왜 필요한가에 대해 고민했다"면서 "성분명 처방을 제도화하려는 이유는 건강보험비 절감, 국민의 건강, 환자 안전의 향상이라는 것들에 가장 부합하기 때문이다. 국민에게 이롭고, 정부에 이롭고, 보건의료인들에게도 모두 이롭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대한약사회는 성분명 처방 TF 활동뿐만 아니라 성분명 처방에 대한 보다 정확한 근거 마련을 위해 지난 5월초 의약품정책연구소에 연구 용역을 맡겼고, 중간 결과를 8월에 받았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와 같이 약가제도에서 제네릭의 약가가 오리지널 약가와 차이가 나지 않는, 다른 나라에 비해 제네릭 약가가 현격히 비싼 제도 아래에서 성분명 처방을 한다면 1조원의 약품비가 절감이 되며, 최저가로 조제를 하게 되면 약 7조원이 절감됐다.
노 홍보이사는 "연구를 통해 약제비 절감 효과를 확인한 만큼, 성분명 처방을 향한 행보들을 더 자신감을 갖고 진행하게 됐다"며 "한국형 모델에 대한 내용은 토론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의사단체 등에서 성분명 처방을 강력하게 반대하는 목소리에 대해 "수급불안정 의약품에 대해 성분명 처방을 강제하는 법안들이 발의돼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의사들이 우려하는 것처럼 성분명 처방이 일시에 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국민이 덜 불편해하고, 보건의료가 서로 충분히 공감할 수 있는 범위가 어디쯤인지 확인하면서 나아갈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편, 성분명 처방 정책 토론회는 오는 30일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더불어민주당 남인순·서영석·김윤·장종태 의원,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 주최, 대한약사회·의약품정책연구소 주관으로 개최된다.
좌장은 최보윤 차의과대 약학대학 교수가 맡았으며, 연자로는 김대진 의약품정책연구소장이 '성분명 처방 한국형 모델 도입 방안'을 주제로 발표한다. 토론자로는 박성민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 남은경 경제정의실천연합회 팀장, 이광민 대한약사회 부회장, 서한기 연합뉴스 기자, 조원준 더불어민주당 보건복지위 수석전문위원, 강준혁 보건복지부 약무정책과장 등이 참석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