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크기 설정
기사의 본문 내용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상호교환성은 의사의 개입 없이 오리지널 의약품을 약국 단계에서 대체 의약품(바이오시밀러)으로 처방할 수 있게 되는 지위를 의미한다.
셀트리온은 올해 2월 FDA로부터 '스토보클로-오센벨트'의 품목허가를 받고 약 8개월 만에 미국 내 상호교환성 지위를 추가로 확보했다.
이번 승인을 통해 스토보클로-오센벨트는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 골전이 암 환자의 골격계 합병증 예방, 골거대세포종 등 각각의 오리지널 의약품이 보유한 전체 적응증(Full Label)에 대해 상호교환성 지위를 인정받았다.
스토보클로와 오센벨트의 오리지널 제품인 프롤리아-엑스지바는 지난해 두 제품 연간 합산 글로벌 매출액이 약 65억9900만달러(한화 약 9조2000억원)에 달하며, 이 중 미국 시장 매출은 약 43억9200만달러(한화 약 6조1500억원)로 전체의 약 67%를 차지한다.
셀트리온은 지난해 11월 스토보클로와 오센벨트의 국내 허가를 시작으로, 올해 2월 유럽과 미국에서 잇따라 품목허가를 획득했다. 이어 호주와 캐나다에서도 허가를 추가하며 글로벌 주요국에서 순차적으로 허가 승인을 이어가고 있다. 미국에서는 7월 초 제품 출시를 통해 본격적인 시장 공략에 나섰다.
특히, 미국 상호교환성 지위 추가 획득으로 글로벌 데노수맙 시장 내 입지를 한층 강화했으며, 약국 단계에서 대체 조제가 가능해지면서 환자들의 치료 접근성이 높아지고 시장 경쟁력도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오리지널 의약품이 보유한 모든 적응증에 대해 상호교환성을 추가로 획득함으로써, 폐경 후 여성 골다공증 및 암 환자의 골격계 합병증 등 주요 치료 영역에서 환자 접근성을 높이고 시장 내 신뢰도를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특히 시장 규모가 큰 미국에서의 점유율 확대를 통해 글로벌 데노수맙 시장 내 입지를 한층 공고히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인환 기자
choiih@medipana.com
관련기사
- 셀트리온 '베그젤마', 日 베바시주맙 처방 1위…"판매 순항"
- 셀트리온, 국내 테크바이오 기업과 '신약 탐색' 공동연구개발 계약 체결
- 셀트리온, 인천 지역 야생조류 보호 활동 전개 …생물다양성 보전 앞장
- 셀트리온, 美서 '유플라이마' 소아 적응증 추가 획득
- 셀트리온, 뉴질랜드 '스테키마' 허가 획득…오세아니아 시장 경쟁력 강화
- 셀트리온-머스트바이오, 다중항체 신약 공동연구개발 계약 체결
- 셀트리온, 일라이 릴리 美 생산시설 인수 절차 진전
- 셀트리온, 美서 유플라이마 10mg 용량제형 허가 획득
- 셀트리온, 美바이오텍과 항체 기반 신약 2종 L/I 계약 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