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의약품 부작용으로 피해를 본 환자 고통이 줄어들 전망이다.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 개선, 부작용 재발 방지 등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부작용 피해 환자는 관련 내용에 대한 기대를 드러냈다.
식약처는 피해구제급여 진료비 지급액 상한선 상향을 추진 중이다. 의약품 부작용 치료 비용 보상을 확대하기 위해서다. 피해구제 부담금 재원 운영현황과 물가 상승이 영향을 미쳤다.
현재 진료비 지급액 상한선은 2000만원이다. 상한선 설정 당시 참고한 유사 제도 금액 증가현황을 살피고 환자단체, 의료 전문가, 제약업계 논의를 거친다는 게 식약처 설명이다.
오유경 식약처장은 "제도 개선에 대한 현장 실무자 의견을 경청하고 있다"며 "부작용 피해를 겪은 환자가 국가를 믿고 치료에 전념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지난 14일 약속했다.
의약품 부작용 재발 방지를 위한 서비스는 강화됐다. 식약처는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DUR) 의약품 성분을 기존 38개에서 66개로 확대했다. DUR은 동시 복용하는 경우 부작용 발생, 중복 투약 등 의약품 안전정보를 의사·약사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다.
이번에 추가된 성분은 클래리트로마이신, 아지트로마이신, 메로페넴 등 28개 항생제다. 식약처는 중증피부약물 이상반응을 유발하는 알로푸리놀 등 의약품 성분 종류를 늘려왔다며, 의약품 부작용 정보를 제공한 피해구제 환자 대상으로 부작용 원인 의약품이 다시 처방된 사례는 없었다고 밝혔다.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를 이용한 한 환자는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를 활용해 의약품 처방 단계에서 원천 차단할 수 있도록, 환자별 부작용 유발 정보를 제공하는 의약품 범위를 최근 확대한 게 안심된다"고 말했다.
약물 안전카드 전자화는 카드를 상시 소지하는 불편함을 개선하고, 의약품 부작용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전망이다. 식약처는 실물 카드를 발급하면서 휴대폰 어플리케이션를 통해 해당 환자 의약품 부작용 정보 저장·관리를 추진하겠다고 예고했다.
식약처는 ▲환자 인적 사항 ▲부작용 발생 원인 (의심)의약품 ▲부작용명 ▲부작용 발생일 ▲발행일 ▲QR코드를 기재한 실물 약물 안전카드를 발급·제공한 바 있다.
오 처장은 "의약품 부작용 보고와 피해구제 제도를 의료현장에 안착시키고, 약물안전카드 전자화 등 편의성을 높여 환자 중심 제도로 지속 개선·발전시키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