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의료개혁특별위원회가 의원급까지 연계한 전공의 수련방안 논의에 착수한다.

노연홍 의료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은 10일 오후에 열린 브리핑에서 "1차 의료기관까지 연계된 수련을 위한 수련 프로그램을 어떻게 할지 특위와 전문위원회에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이날 오전에 열린 의료개혁특위 2차 회의에서는 대학병원부터 일차의료기관까지 포괄하는 네트워크 수련체계 도입방안을 구체화하는 방향이 논의됐다. 의료기관 기능 중심 개편에 맞춰 수련체계까지 바꾸겠다는 의도다.

이에 브리핑에서는 '의원급에서 전공의를 수용할 수 있을지, 실효성이 있다고 볼 수 있는지'를 묻는 질의가 나왔다.

답변에 나선 노연홍 위원장은 실효성보다는 정책 취지를 강조했다.

전공의가 실제 근무하게 되는 의원급 진료에 대해 수련할 수 있는 체계가 현재로선 마련돼 있지 않기 때문에, 이번 의료개혁을 계기로 개선하겠다는 의도다. 다만 구체적인 방안은 이제부터 논의해나가야 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현재로선 실효성을 따질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

노연홍 위원장은 "현재 대학병원에서 수련을 거친 전문의 중 약 과반수 이상이 지역의 중소병원이나 의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상급병원과 중소병원 그리고 의원은 환자군과 진료 내용이 달라서 현재의 수련체계로는 실제 현장에 맞는 다양한 역량을 키우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위에서 논의하기로 한 1~3차 의료기관에 걸친 수련의 다변화는 중증 진료만 배우는 것이 아니라 전공의가 실제 현장에서 필요한 다양한 의료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라면서 "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정경실 의료개혁추진단장은 "많은 전문가분들께서 다양한 의료기관에서 실제로 임상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수련체계가 필요하다는 지적을 많이 해 주셨다. 개편 방향은 상급종합병원, 지역 중소병원, 1차 의료기관, 공공보건기관 등에서 다양하게 수련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고자 하는 것이다. 이것을 저희가 '네트워크 수련'이라는 용어로 표현을 했다"며 "다만 보건기관이나 의원급에선 상급종병과는 다른 수련 프로그램이나 지도 전문의 자격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 부분을 우선 논의하면서 네트워크 수련체계를 만들어가도록 하겠다"고 부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